중국 관광객 무비자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서울시가 중국인에 대한 비자 면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서울 시내 숙박 시설을 대폭 늘리도록 관련 규정을 고치기로 했다.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서울시 안승일 문화관광기획관은 30일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비자 발급부터 숙박시설·음식점에 이르기까지 여덟 가지 정책을 새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정부와 협의해 중장기적으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현재는 중국인에 대한 한국의 비자 발급이 까다로워 중국 관광객들의 불만이 크다.

정부와 논의해 관광숙박시설 확충과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을 조기 제정해 2014년까지 관광호텔 1만6000실을 늘린다는 방침도 정했다. 현재 서울 소재 관광호텔은 2만8000여 실에 불과해 외국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특별법에는 호텔시설 용적률과 주차장 설치 기준 완화, 주택과 호텔시설 복합건설 기준 완화, 국공유지 매각 특례 등 민간호텔 건립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시는 외국인이 사용하기에 적절치 않은 여관 등은 중저가 숙박시설인 ‘이노스텔’로 전환을 유도하고 내년부터는 민간 여행사와 함께 이노스텔 이용 관광상품도 개발해 운영하기로 했다.

중국 관광객의 가장 큰 불만인 음식문제 해결을 위해 이들의 만족도가 높은 식당 100곳을 서울형 관광식당으로 지정하고 2014년까지 18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큰손’ 관광객 10만 명을 끌어오기 위해 민간 여행사와 공동으로 문화관광 명소, 서울형 산업, 백화점 등이 결합된 ‘VIP용 관광 상품’도 개발하기로 했다.

이 밖에 현재 2800명인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를 2014년까지 45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300명인 시 관광안내 인원도 앞으로 4년 동안 1300명까지 늘린다. 같은 기간 중 지역별 관광안내소도 현재 14곳에서 30곳으로 확대된다. 시는 이러한 대책을 추진하기 위해 다음달 초 본청 관광과에 중국관광객 유치 전담팀을 구성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일부터 7일까지 이어지는 중국 국경일 연휴를 겨냥해 단기 대책도 마련했다.

먼저 1일부터 열흘 동안 한강과 서울 도심에서 펼쳐지는 하이서울페스티벌 관광상품을 개발해 축제 관광객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 기간 인천공항안내소에는 중국어 전담 직원을 추가 배치하고 숙박 시설 확보에 곤란을 겪는 관광객을 위해 홈스테이 안내 서비스도 제공한다. 쇼핑 명소인 명동·동대문·이태원에서는 패션 축제, 거리 축제 등 다양한 페스티벌을 개최해 볼거리와 쇼핑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여행을 한 중국인 수는 4766만 명으로 이 가운데 한국을 찾은 사람은 134만 명 이다. 서울시는 2020년에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한 해 1억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시가 올해 초 닐슨컴퍼니코리아를 통해 외국 관광객 2000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을 찾은 중국인들은 평균 2203달러를 지출해 일본 관광객의 평균 지출액(1229달러)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박태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