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사상 최대 적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지난해 서울 시내버스의 운송적자가 2692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시내버스는 2004년 준공영제 도입 후 2007년 1703억원, 2008년 2056억원 등 매년 적자가 늘고 있다. 연도별 적자 증가율이 2008년 20.7%에서 지난해에는 30.9%로 높아졌다.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대중교통 활성화와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운행은 업체에 맡기지만 운행 대수, 수입금, 노선 조정 등은 서울시가 총괄하는 제도다.

시내버스의 운송적자 폭이 커지면서 서울시가 버스 업계에 지원하는 재정 규모도 2007년 1636억원, 2008년 1894억원, 지난해에는 2900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올해도 이 같은 상황은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시내버스 업계의 수입과 비용이 각각 1조1024억원과 1조4167억원으로 예상돼 3143억원의 운송적자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시내버스 운송적자의 가장 큰 원인이 시민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요금 인상을 자제해 수입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반면 유류비와 물가 등 운송비용은 계속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꼽고 있다. 시내버스 요금은 준공영제가 도입된 2004년 7월 700원에서 800원으로 오른 뒤 2007년 4월 900원으로 한 차례 인상됐다. 2년마다 100원씩 대중교통 요금을 올리기로 한 서울시의 중기재정계획에 따르면 올해까지 세 차례 요금이 인상돼야 했지만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미뤄졌다.

여기에 교통수단 간의 환승 때 요금을 깎아주는 통합환승할인제에 따라 실제로 승객 한 사람에게 받는 평균 운임은 655원에 불과해 기본요금 900원에 못 미친다. 1인당 평균 운임 655원은 운송원가(812원)보다도 적어 승객 1명을 태울 때마다 157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 정화섭 버스정책담당관은 “노선 조정과 비수기 운행률 축소 등 자구책을 추진 중”이라며 “서비스의 질은 높이되 시민의 세 부담은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