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특구법 표류에 松島등 외자유치 비상 130억弗 계약 물거품될 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에서 경제자유구역법(경제특구법) 통과가 불투명해지면서 인천시가 미국에서 1백30억달러의 외자를 들여오려던 계획도 백지화할 위기에 처했다.

<관계기사 3면>

외국 자본은 송도 신도시·영종도·김포 매립지 등이 각종 규제가 거의 없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다는 조건 아래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데, 이것이 안되면 투자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지난 3월 세계 2위 부동산 개발업체인 미국의 게일 앤드 웬트워스(G&W)사로부터 송도 신도시 1백67만평에 1백27억달러(약 16조5천억원)를 투자해 국제 비즈니스 센터를 조성하는 본계약을 이끌어냈다.

인천시 박연수 기획관리실장은 11일 "G&W와 계약하면서 송도 신도시를 규제가 적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한다고 약속했다"며 "경제자유구역법이 무산되면 계약 자체가 파기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또 송도 신도시에는 미국 바이오 벤처사인 벡스젠사가 총 3억달러를 들여 에이즈 백신 공장을 짓기로 하고 인천시와 계약했는데, 이 역시 차질이 우려된다.

이밖에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사와 통신 장비업체인 시스코사가 송도 신도시에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를 마련하기 위해 인천시와 접촉하고 있다.

미국 화인사와 독일 크리스티안 킨네버그사는 송도 신항 개발 의사를 타진하고 있으며, 세계적 택배회사인 미국 DHL사는 영종도에 동북아 물류센터 건설을 희망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지난 8일 국회 본회의에서는 경제자유구역법이 상정조차 안된 데 이어 14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도 통과가 불투명한 상태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노동계의 눈치를 보면서 당론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 기업에 대해 월차휴가를 폐지하고, 무급 생리휴가를 인정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법이 통과되면 총파업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고현곤·남정호 기자

hkko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