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친서민 타이틀’경쟁 민주당도 30개 정책 맞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민주당이 ‘친서민’ 정책에 부쩍 공을 들이고 있다. 여권과의 ‘친서민 경쟁’에서 자칫 밀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후반기 국정 운영 방향으로 ‘친서민 중도실용’을 내세웠다. 한나라당은 서민정책특위를 구성했다. 이처럼 여권의 행보가 빨라지자 민주당도 부산을 떨고 있다. ‘서민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여권에 넘겨줄 수도 있다고 걱정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여권의 친서민 행보는 위장된 친서민”이라며 연일 비판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8일 기자회견을 통해 ‘친서민 30대 정책’을 발표했다. 이들 정책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 정책위의장 회담도 열자고 제안했다.

민주당이 발표한 30대 정책의 골자는 ▶중산층·서민 필수생활비 부담 완화 ▶자영업자·중소기업 보호 육성과 대기업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부자 감세 저지 및 서민 감세 실현을 위한 세제개편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취약계층 지원 ▶비정규직 보호와 고용안정이다. 민주당은 휴대전화 가입비 폐지와 휴대전화 기본료 50% 인하, 노인 틀니 비용에 대한 70% 이상의 건강보험 지원 등 구체적인 실현방안도 제시했다.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한나라당이 진정으로 서민을 위한다면 민주당이 제시한 30대 정책을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춘 의원도 “한나라당은 우리가 주장했던 서민 정책을 마치 자기들 것처럼 포장하는 데 이는 눈 가리고 아웅”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 일각에선 민주당의 친서민 정책 대응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당이 대안을 제시하는 타이밍을 제대로 잡지 못해 여당에 뒷북을 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 민주당의 색깔과 정체성을 살리면서 서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을 내놓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