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 몰린 정세균 … 비주류 “사퇴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재·보선 다음 날인 29일 출근하지 않았다. 국회에도 당사에도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하루 종일 서울 마포구 상수동 자택에 머물렀다. 그는 기자와 통화에서 “오늘은 그냥 쉬겠다”고만 했다.

민주당 희망쇄신연대 장세환·김영진·문학진·주승용 의원(왼쪽부터) 등이 29일 국회에서 “국민에게 사죄 드린다”며 허리를 굽히고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 대표의 이같은 행보와 달리 당 비주류 인사들은 아침 일찍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김영진 쇄신연대 상임집행위원장은 “지방선거 승리에 도취해 오만하게도 제대로 된 전략과 정책도 없이 재·보선에 임한 지도부는 분명히 책임을 느껴야 한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공정한 전당대회를 위해 임시지도부 구성을 요구한 바 있다”며 “지도부가 어떻게 책임 있는 결단을 내릴지 지켜볼 것”이라고 압박했다. 쇄신연대 간사인 장세환 의원은 “정 대표는 사퇴를 스스로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도부를 압박하는 이들은 쇄신연대뿐이 아니었다. 박주선 최고위원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전당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지도부 사퇴와 임시지도부 구성을 위한 논의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당내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는 박지원 원내대표도 이날 “지도부의 안이한 공천 결과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당권 투쟁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드는 모습이다. 하지만 주류 측은 비주류의 공세에 대해 공동책임론을 제기하며 사퇴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미경 사무총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공천에서) 여러 가지 여의치 못한 측면이 있었다”면서도 “이번 선거의 패배를 가지고 한꺼번에 잘못됐다고 몰아치는 것은 균형 있는 태도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정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낸 강기정 의원도 “(지금 구성 중인) 전당대회 준비위에서 당의 변화와 혁신을 이룰 전당대회를 진행해야 한다”며 “선거에 졌다고 지도부가 물러나는 것은 할 일이 아니다”고 비주류 측 요구를 일축했다.

주류·비주류 간 신경전이 가팔라지자 당내 시선은 손학규·정동영 상임고문 쪽으로 쏠리고 있다. 9월 초로 예상되는 전당대회에서 정 대표와 함께 진검승부가 펼쳐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다. 손 고문은 사실상 전당대회 출마 결심을 굳혔다고 한다. 사흘 동안 충북 충주에 머물렀던 손 고문은 29일 춘천으로 돌아갔다. 한 측근은 “전당대회에 확실하게 나온다고 말한 적은 없지만 나설 생각이 있는 게 맞다”며 “다만 함께 선거운동을 한 정 대표에 대해 책임론을 제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고문은 이날 부산에서 열린 조경태 의원 출판기념회에 참석했다. 그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모두 애를 썼는데 결과가 좋지 않아 안타깝다”고 했다. “전당대회에 출마할 것이냐”는 물음엔 “말을 아끼는 게 낫겠다”고만 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