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對美공세 강화 '전쟁 방지' 국제회의 열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유엔 안보리가 이라크의 무기사찰을 위한 결의안 작성에 논의를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이라크는 15일 관영매체 등을 동원해 미국의 전쟁위협을 강력한 어조로 비난하고, 각국 지도자들과 미국의 공격위협에 대한 대책회의를 여는 등 대미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이라크의 집권 바트당 기관지인 '아트-타우라'는 이날 "미국이 유엔을 침략적 외교정책의 도구로 이용해왔다"면서 "미국은 유엔의 권위에 대해 말할 권리가 없다"고 비난했다.

일간지 '바벨'은 또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대(對)이라크 전쟁을 위해 동맹국들의 압력 아래 유엔에 호소하는 행위는 국제법을 회피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했다.

후세인 대통령은 이날 타하 야신 라마단 부통령과 이자트 이브라힘 혁명지휘위원회 부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바트당-내각 합동회의를 주최해 정치현안을 논의했다.

타리크 아지즈 이라크 부총리는 16일 바그다드에서 전세계 정치인과 지식인·노조지도자 등 1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쟁 방지를 논의하는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지난 주말 개인자격으로 바그다드에 도착한 티에리 마리아니 등 프랑스 의원 세명을 비롯해 멕시코 의원 두명, 그리고 멕시코시티 시의원 1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지 사브리 이라크 외무장관은 15일 독일 TV 'N24'와의 인터뷰에서 "이라크의 주권은 존중돼야 한다"면서 "유엔이 만들 결의안은 이라크뿐 아니라 이스라엘을 포함한 중동지역 내 모든 국가의 대량살상무기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이스라엘을 지목하며, "이스라엘은 상당량의 핵과 생 화학무기, 장거리 미사일 등을 보유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사브리 장관은 또 "사찰단은 이라크가 추방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철수한 만큼 복귀문제는 새로운 결의안이 아닌 기존 유엔 결의안을 이행하는 형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16일 오후 파루크 알샤라 시리아 외무장관과 회담을 열고 미국의 대 이라크 정책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등 유엔 안보리 회원국들에 대한 본격적인 외교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