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난체계 허술… 재해 더 키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엉성한 긴급 구난체계가 오히려 수해를 키웠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피해 주민들은 하천을 관리하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배수장을 관리하는 농업기반공사, 이재민을 보살펴야 할 지방자치단체의 대처가 너무 늦었고, 기관끼리의 협조가 제대로 되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했다.

◇함안군=6개 마을이 침수된 경남 함안군 법수면 백산제방 붕괴 피해주민 대책위는 18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함안군 등이 늑장 대처해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지난 9일 오전 4시30분쯤 남강 백산배수장 관리인 金모(56)씨가 옹벽 아래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 법수면사무소·농업기반공사 등에 보고했으나 늑장대처로 10일 오후 4시쯤 둑이 붕괴됐다는 것이다.

대책위는 함안군 당직자들이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상황을 알리려 했으나 당직실에 최근 바뀐 국토관리청 전화번호가 없어 통보가 늦어진 사실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토관리청·함안군 관계자들은 "관계자들이 현장에 출동해 누수 원인을 찾는 등 조치를 취하는 도중 둑이 터진 것이지 늑장 출동한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김해시=23개 마을이 침수된 김해시 한림면에서도 상황이 발생하고 이틀이 지나서야 현장지휘소가 설치되고 수재민 구호 활동이 본격화됐다. 한림면 장방리 주민대책위 표삼철(38)씨는 "해마다 수방대책을 건의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수해를 연례행사로 치른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김해·함안=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