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측 책임론은 戰死者 모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금강산관광 중단(6월 30일)→군 수뇌부 문책(7월 2일)→대북지원 중단과 서해도발 국정조사(3일).

한나라당의 공세 수위가 연일 높아진다. 3일엔 민주당 일각과 외신에서 거론된 '남측 책임론''우발적 교전론'을 놓고 맹공을 퍼부었다.

남측 책임론은 우리 어선이 어로한계선 북쪽에서 조업한 게 도발의 빌미가 됐다는 주장이다.

또 우발적 교전론은 정부가 "북한 도발이 우발적인 것일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을 미·일에 전달했다는 외신 내용이다.

이회창(會昌)대통령후보는 이날 "정부가 우발적 도발로 몰아가고, 남측 책임론이 나오는데 참으로 한심하다"며 "정략적으로 물타기하려 한다면 대한민국 국민이 아니다"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그는 "우발적이란 것은 군의 견해와도 다르고 진실과도 거리가 멀다"며 "이번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대북협력과 지원은 일시적으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필요할 경우엔 국정조사를 요구해 이번 사태의 대응과 책임소재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했다.

그의 한 측근은 "축소에 급급한 정부의 대응자세는 물론이고, 햇볕정책에 대한 국민의 거부감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며 "후보는 햇볕정책 자체를 본격적으로 문제삼을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당에선 의총과 대책회의가 잇따랐고, 비난발언이 줄을 이었다. 서해도발 진상조사특위 강창희(姜昌熙)위원장은 "우발적 사태라는 것은 북한의 선제 공격에 명분을 주는 것으로 국민이 경악과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강두(康斗)정책위의장은 "남측 책임론이란 전사한 영령을 모독하는 처사"라고 흥분했다.

의총은 "현 정권은 실패로 판명된 햇볕정책 비호에만 혈안이 돼 있다"며 "정부와 민주당은 사태의 본질을 왜곡하는 행태를 중지하라"는 등 6개항을 결의했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