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재보선 갈길 바쁜 정치권] 민주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 노무현(武鉉)대통령후보가 8·8 재·보선이란 시험대에 다시 올랐다. 만약 이번 선거 결과마저 신통치 않으면 비주류의 도전이 6·13지방선거 때와는 차원이 다르게 거칠어질 전망이다.

후보측은 "재·보선 공천과정과 결과에서 후보 컬러를 강화하는 게 기본전략"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명운을 건' 공천작업이 실제론 속도가 붙지 않고 있다.

23일 현재까지 기존의 조직강화특위를 대신할 재·보선특별대책기구의 위원장 인선조차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특별기구위원 인선→공천기준 마련→후보 공모 등 후속절차도 지연되고 있다.

이처럼 지지부진한 배경에는 재·보선 책임을 떠안지 않으려는 주류 내부의 '핑퐁게임'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민주당은 8·8 재·보선을 후보 지휘하의 대선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치르느냐, 한화갑(韓和甲)대표 중심의 기존 체제로 하느냐를 놓고 시간을 끌어왔다.

후보측은 급한대로 김근태·조순형(趙舜衡)고문 중 한 명을 특별기구 위원장으로 임명한 뒤, 이번주 중 기구 구성을 마무리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재·보선 후보영입 작업이다. 당초 후보측은 합리적 보수에서 온건한 진보쪽으로 스펙트럼을 넓게 잡았다. 그러나 지방선거에서 참패하면서 심각한 인물난을 겪고 있다.

수도권에서 이정우(政祐·전 서울대 총학생회장)변호사, 최열(崔冽)환경운동연합 대표, 전북지역에서 386세대의 함운경(咸雲炅)씨 등을 거론하고 있으나 모두 시민단체나 학생운동권 출신이라는 점이 부담이다. 방송인 손석희(孫石熙)씨나 영입의사를 타진 중인 몇몇 기업인들로부터는 확답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측이 공천기준으로 당선 가능성과 개혁성 가운데 개혁성에 무게 중심을 싣고 있는 것도 당내 갈등을 부를 소지가 있다. 한 측근은 "지난 지방선거 때는 당선 가능성에 치중했지만 이번에는 개혁성을 부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야 재·보선에서 져도 후보 개인 지지도까지 동반하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이유다. 재·보선 출마를 노리는 일부 중진들과의 마찰 가능성이 예고되는 부분이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