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비즈 등장 따라 BM 관심 높아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0면

크레비즈의 등장으로 B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원래 BM은 미국 특허법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Business Method의 줄임말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바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의 줄임말이 아니다. 원칙적으로 BM이라고 할 때는 특정한 사업, 영업을 하는 방식 자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BM특허란 특정한 사업, 영업방식 자체가 일반적 특허의 요건인 신규성과 진보성을 구비하였을 경우 특허를 부여함으로써 그 창안자에게 독점권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특허는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Technology)에 부여하는 것으로 생각돼 왔는데, 몇 년 전부터 미국에서 독창적이고 진보적인 사업방식 자체에 대해서도 독점권을 부여해 보호하기 시작했다. 그 제도가 국내에도 소개되면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미국의 영향을 받아서 1999년 후반 BM에 대한 출원이 시작되었으며, 한창 벤처 붐이 일던 2000년, 2001년에는 특허사무실들이 밀려드는 BM출원 건 때문에 즐거운 비명을 질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옥석이 제대로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출원이 이루어진 것도 많았지만 개중에는 정말 보호 받을 만한 가치가 크고 또 등록 가능성이 높은 BM들이 많다.

1999년에 출원했던 BM들은 작년부터 등록 여부가 판정나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꽤 많은 BM들이 특허 등록되고 있는 상황이다. IT기업의 경우 특허로 출원한 BM자체가 그 회사의 유일한 수익모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자신이 출원하였거나 등록한 BM을 근거로 유사한 BM을 이용해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경쟁업체를 상대로 특허권침해금지가처분이나 손해배상소송 등을 제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고 앞으로 몇 년간은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원칙적으로 특허는 등록이 되어야만 특허권으로서의 효력이 발생하고 출원만 된 상태로는 아무런 권한이 없다. 그러나 특허가 출원된 상황이라는 것은 그 특허가 나중에 등록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는 2가지 가능성을 모두 다 갖고 있는 것이다. 만약 어떤 특허가 등록이 되지 않고 출원만 되었다는 이유로 그 출원된 특허내용과 동일, 유사한 사업을 전개한 경우, 나중에 출원되었던 특허가 등록이 되면 등록되기 전의 특허권침해행위까지 소급해서 손해배상 등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이유로 특허가 출원만 된 상황에서도 출원된 특허에 침해되는 행위를 하는 상대방에게 향후 제기할 지도 모를 손해배상청구를 문제 삼아 특허침해행위를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도 많다.

새롭게 비즈니스를 하려는 사람들은 그 비즈니스의 내용이 이미 출원되었거나 등록 완료된 타인의 BM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지 면밀히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