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제 "언론이 타도 대상인가" 노무현 "언론 소유지분 제한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노무현·이인제 후보는 4일 밤 MBC 토론에서도 이념·남북문제 등을 놓고 격렬하게 대립했다. 盧후보의 언론 국유화 발언의 진위여부를 놓고도 맞섰다.

◇언론 국유화 논란

▶사회=盧후보가 주요 신문을 국유화하겠다고 말했다는데.

▶李=盧후보는 장관 할 때 언론과 전쟁을 불사한다고 했고 조폭 언론이란 표현을 썼다. 언론은 타도의 대상이 아니다. 언론 국유화 발언은 현장에 5명의 기자가 있었는데 대부분이 사실이라고 확인했다.

▶盧=언론전쟁은 기자가 먼저 물었고 조폭적 언론도 마찬가지다.언론에 대해선 뚜렷한 얘기를 해왔지만 국유화를 얘기한 적 없다. 언론사 소유 지분은 제한해야 한다.지분 제한에 대해 거스를 한두개의 메이저 언론을 공격하다 내가 굽히지 않으니 이 공방의 와중에서 다시 나를 공격하고 있다.

◇이념 논쟁

▶盧=장인이 과거 좌익활동을 하다 옥살이하던 중 돌아가셨다.연좌제에 걸리면 판사 못된다고 했지만 오기로 고시에 합격했고 판사 발령을 받았다. 이 문제 때문에 아내 가슴에 못이 박혔다.

▶李=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선장이다. 선장이 키를 쥐고 1도만 다른 각도로 틀어도 배가 가는 목적지는 달라진다. 정책 노선 검증은 당연하다. 대한민국이 유일한 합법정부인 걸 인정하는가. 남북통일을 어떤 정치체제로 해야 할지 밝혀야 하지 않는가.

▶盧=합법정부인 걸 인정하니까 판사·국회의원·장관을 했다.하지만 통일의 체제는 모호하게 해두는 게 좋다. 우리만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하면 흡수통일의 저의를 명확히 드러내는 것인데 그렇게 하면 내가 대통령이 돼서 어떻게 남북관계를 풀겠는가.

◇공기업 민영화

▶盧=발전소를 민영화하면 수조원이 든다. 민간기업이 본전 뽑으려고 전력요금 올려 국민에게 부담이 된다. 국가가 공기업 형태로 관리하면 세금 부담이 더 가는 차이일 뿐이다. 독점적 네트워크 기업은 민간이 독점해도 폐해가 있다. 민영화는 신중하게 재검토하고 개별적으로 판단하자고 했다. 민영화해서 맞는 것은 해야 하고 아닌 것은 안된다.

▶李=작은정부를 만들려면 민영화가 필수적이고 유럽 좌파도 다 민영화한다. 효율을 극대화해 싼값에 안정적으로 만들고 경쟁체제를 강조해야 한다.

◇감정싸움

▶盧=나더러 급진세력이니, 평양사람들이 좋아할 것이니, 광기로 뽑아 망한 나라 많다고 험악한 말을 했다.

▶李=의원 배지 달고 불법 현장에 가서 선동한 게 사실 아닌가. 인기에 영합한 정치로 나라 망한 예를 든 게 뭐가 잘못인가.

김정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