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종근 지사 수사 급물살 탈듯 세풍서 빼돌린 40억 정치권 유입 여부 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검찰이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된 유종근 전북지사를 조기 소환키로 해 세풍그룹의 정·관계 로비 의혹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지사가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 중인 데다 또다른 민주당 경선 주자에게도 연루 의혹이 거론되고 있어 대선을 앞둔 정치권에 미묘한 분위기를 만들고 있다.

거기에 김영삼(金泳三·YS)정부 시절 청와대 수석비서관까지 금품을 받았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수사 진척에 따라 만만찮은 파장을 몰고올 수도 있다.

◇유종근 지사 의혹=신문용지 제조업체인 세풍은 1995년 군산시 옥구읍과 옥서면 일대에 있는 자사 소유 3백50만㎡(약 1백6만평)의 폐염전에 길이 4천5백79m, 폭 15m의 트랙과 9만6천석 규모의 관람석을 갖춘 경주장을 건립해 세계적인 자동차경주대회의 하나인 'F1그랑프리대회'를 유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세풍은 97년 5월 군산시로부터 해당 부지에 대해 준농림지역에서 준도시지역으로 용도변경 허가를 받았으며 폐염전의 땅값이 뛰자 이를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7백여억원을 대출받았다.

세풍은 97년 10월 기공식을 하고 사업을 시작했지만 외환위기가 닥쳐 98년 7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면서 사업을 중단했다.

당시 군산시는 세풍 소유 부지의 용도변경에 반대해 지사측과 마찰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수사=검찰은 연간 매출이 1천7백억원 정도였던 세풍이 2천4백여억원이 드는 자동차경주장 건설 사업과 민방사업 진출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정·관계 유력인사들의 배후 지원이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세풍 대주주 일가가 빼돌린 회사돈 40억원이 정·관계 인사들에게 흘러갔는지가 사건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특히 시기를 보면 현 여권뿐 아니라 지금은 야당인 구 여권 인사들도 포함될 수 있어 이번 사건에선 여야 모두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는 게 검찰 안팎의 시각이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