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 北 中 월드컵육로 뚫리면… 대화 물꼬 틀 好材 北경제 實益도 기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중국에서 올 월드컵 관광객을 북한을 경유하는 육로로 수송하는 방안은 성사될 경우 북한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고, 남북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 관광객이 서울을 오가는 길에 북한지역을 연계관광할 수 있는 데다 북한이 4월 29일부터 두달간 치르게 될 평양 아리랑 축전에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도 보탬이 될 게 분명하다. 정부 당국자는 6일 "한·중 또는 남북간 당국 차원의 협의는 없었다"면서도 "한반도에서 일정한 역할을 원하는 중국측이 월드컵을 계기로 자연스레 남북 간 협의의 장을 만들어 가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대를 나타냈다.

미·중 정상회담 때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에게서 북한에 대화를 권유해줄 것을 요청받은 중국정부가 북측을 남북 화해협력으로 유도하려고 월드컵 관광객 수송문제를 카드로 꺼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탕자쉬안(唐家璇)중국 외교부장의 언급에도 불구하고 실제 성사되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는 게 정부 당국과 관광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우선 북한의 열악한 열차 사정도 문제지만 철로가 연결되지 않은 개성~판문점 구간은 버스로 갈아타야 하는 불편함도 따른다.

동북 3성지역 중국인이나 조선족 동포들이 주로 이용하겠지만, 왕복 운행시간이 최대 4~5일 걸릴 수 있어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관광객들은 오히려 한·중간 선박편을 이용하는 쪽을 선호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북한이 미군관할이라며 기피해온 판문점을 개방할지도 불투명하고, 한·미간 협의도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북한을 거치는 한·중 간 월드컵 관광루트 개설은 운송특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보다 북한이 남북 간 교통로를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연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남북 간 합의에도 불구하고 경의선(京義線)철도·도로 연결을 꺼려온 북한이 중국측의 설득을 통해 개방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우리 관광객이 이 경로를 이용해 아리랑 축전을 다녀오거나 금강산 관광과 북한의 다른 지역 관광코스를 연결하는 일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중국이 이번 일을 계기로 남북 간 중재자 역할에 나서려 한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하지만 정부 당국자는 "아직 북·중 간의 협의는 관광객 운송을 위한 구체적인 단계까지 다루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신중한 대응을 주문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