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새 시대 연 ‘무라야마 담화’ 주인공 한국에 오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무라야마 도미이치는 총리 시절인 1995년 공표한 ‘무라야마 담화’로 유명하다. “통절한 반성의 뜻을 표하며, 진심으로 사죄의 마음을 표명한다”는 내용의 무라야마 담화는 지금까지 일본 정부가 공식 발표한 것 가운데 가장 전향적인 ‘식민지배 반성’으로 평가받는다.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이 진실이라고 확신합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86·사진) 전 일본 총리는 ‘역사의 진실’을 강조했다. 지난 5월 10일 한국-일본 지식인 200여 명이 ‘한·일 병합의 원천무효’를 발표한 공동성명에는 역사의 진실이 담겼다고 말했다. 일본 메이지(明治)대 한국동창회(회장 박원석)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한 그를 지난 5일 오후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그 역시 메이지대 동창으로, 1946년 정치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그를 만난 날, 일본 총리 교체가 주요 국제 뉴스였다. 새로 선출된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에 대해 그는 상당한 기대를 거는 듯했다. 그는 “아주 잘 된 일”이라며 “간 나오토 체제는 비교적 오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회당 출신이면서 일본-미국 관계를 중시하는 뜻을 거듭 밝힌 점은 주목할만하다. 다음은 일문일답.

-간 나오토 총리 체제를 어떻게 보나.

“하토야마-오자와 체제에서 간 나오토 체제로 바뀐 것은 아주 잘 된 일이다. 큰 기대를 하고 있다. 좋은 성과가 있을 것 같다. 민의를 중요시하는 흐름이 강화되는 가운데 선출된 총리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만하다. 민의에 기반해 진실을 확보하는 노력을 새 총리는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총리 교체가 잦은 듯한데….

“그때 그때 최선을 다하다 보니 그런 것일 뿐 특별한 원인이 따로 있지는 않다. 간 나오토 총리 체제는 아마 오래갈 것이다.”

-한·일 지식인들이 100년 전 한·일 병합의 원천무효를 선언한 일을 알고 있나.

“물론이다. 양국 지식인 200여 명이 역사의 진실에 서명한 것이다. 지식인 공동성명이 진실이라고 확신한다.”

-무라야마 담화와는 어떤 차이가 있나.

“무라야마 담화는 다소 추상적이었다. 지식인 공동성명이 더 구체적이다. 바탕이 되는 정신은 같다고 본다. 앞으로 대다수 국민으로 이해의 범위를 넓혀가야 할 것이다. 한·일 병합 100주년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양국 정부가 공동성명의 정신을 확대시킬 방법을 찾아보았으면 한다.”

-공동성명 관련 일본 의회의 의결도 가능할까.

“정부가 어떤 성명을 발표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다. 정부 관련자들이 의사를 결정하면 된다. 무라야마 담화도 그랬다. 이와 달리 국회 결의는 어렵다. 각 지역의 여러 사람이 관련되어 있어 의견 일치를 보기 힘들다.”

-하토야마 전 총리의 사퇴 원인으로 후텐마(普天間) 주일 미군기지 이전 문제가 거론된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후텐마 문제를 5월까지 해결한다고 공약했다가 못했고, 결과적으로 국민에게 거짓말을 하게 된 것을 책임지고 사퇴했다. 사퇴 원인이 그것뿐만은 아니다. 정치자금 문제로 민주당 내에 사퇴 압력이 있었다. 7월로 예정된 참의원 선거를 고려했을 것이다.”

-후텐마 문제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굉장히 어려운 문제다. 새 총리가 들어섰다고 해서 달라지긴 힘들 것이다. 오키나와 주민의 민원도 해결해야 하겠지만 일본-미국의 관계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새 정부 들어 일-미 관계가 중시되면 일-동아시아의 관계는 후퇴할까.

“아시아에서 일본의 입장, 일본-미국 관계에서 일본의 입장은 둘 다 중요하다. 아시아를 소홀히 하거나, 일·미 관계를 소홀히 하거나 하는 식으로 문제를 갈라 보는 것은 잘못이다.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글·사진=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