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한국 왜 오나] 테러후 동북아 외교 재정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방한은 지난해 9.11 테러 사태 이후 미국의 동북아 외교를 다시 정리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콜린 파월 국무장관이 수행하고, 일본.중국에도 간다.

가장 중요한 의제는 한반도 안정이라고 외교 당국자는 말했다. 한국은 올해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를 치러야 하고, 월드컵.아시아게임 등이 예정돼 있어 테러 대상이 될 수 있는 데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이것이 '국운 융성'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국의 입장에서도 한반도 안정은 동북아 지역에서의 미국 국익에 가장 큰 변수다.

金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아태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에서 반테러 선언을 주도해 이와 관련한 구체적 협력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대북정책에 대한 조율도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해 3월 워싱턴에서 열린 두 정상의 회동은 상당한 시각차를 드러냈었다. 부시 대통령은 북한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에 대해 '회의감(scepticism)'을 표시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테러 문제에 金대통령이 적극 나섬으로써 '인간적 신뢰'를 쌓았다고 강조했다.미국의 대북 정책에서도 金대통령의 '햇볕정책'에 호응한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한 미국과 북한 사이는 테러 지원 문제를 놓고 긴장관계에 있다. 따라서 미국의 태도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외교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金대통령은 임기 1년을 남겨둔 시점에서 이런 부시 대통령을 맞아 대북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시도를 할 것으로 예상돼 주목된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