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한다" "아직은…"]청와대 참모들도 이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월 중 전면개각설에서부터 2월 이후 소폭 보각(補閣)설 등이 관가를 흔들고 있다. 어느 것이 사실일까.

이를 따져보기 위해서는 전면개각과 보각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장과 계산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한나라당은 줄곧 대폭개각,중립내각 구성,안기부장과 검찰총장 경질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선거의 해에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을 하루라도 빨리 완전중립 지대로 묶어놔야 한다는 입장때문이다.

민주당은 개각이 대통령의 고유 권한임을 고려해 언급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인 출신 장관의 철수같은 조치가 'DJ로부터 독립한 당'의 이미지를 높여 득표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인식이 일각에 자리잡고 있다. 분위기를 쇄신해 민주당의 지지도를 높여보자는 생각도 깔려 있다.

이런 가운데 金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박지원(朴智元)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은 7일 "金대통령은 이미 민주당을 조정하거나 정치에 간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기 때문에 앞으로 (인사탕평의)개각을 하고 민생.경제.남북문제에 전념하면 성공한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朴전수석은 그러나 "실제 개각 여부와 시기.폭에 대해선 전혀 아는 바 없으며 청와대를 떠난 위치에서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며 원론적인 발언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청와대 고위 관계자들은 전면개각설에 부정적이다. 金대통령을 매일 아침 만나는 이상주(李相周)비서실장은 "아직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오홍근(吳弘根)공보수석은 "대통령이 직접 '개각 계획이 없다'고 내게 말씀하셨다"고 부인했으며,개각 자료를 관리하는 김학재(金鶴在)민정수석도 이와 관련한 어떤 지시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전면개각설의 근거였던 부처별 업무보고의 2월 연기배경에 대해선 "金대통령이 1월엔 경제회생과 월드컵 개최문제와 관련해 여러 사업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며 개각과는 무관하다"고 청와대 핵심관계자가 말했다.

이처럼 현직 인사들의 견해는 불가피하게 개각요인이 발생하면 그때 그때 보각을 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이한동(李漢東.무소속)총리를 포함해 '정치인 출신 장관 일괄교체'하는 식으로 일거에 바꾸는 개각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들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이들의 직책상 대통령의 말이 떨어지기 전까지는 "현재로선 개각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안다"는 말을 되풀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개각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널리 퍼져 있는 상태다. 따라서 개각은 金대통령의 택일만 남았다는 것이 여권 내부를 잘 아는 사람들의 거의 일치된 견해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