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쇄신연대 표결 전격수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막다른 골목으로 몰리던 민주당 내분상황에 4일 출구가 마련됐다.

전대 시기를 놓고 주류측과 대치해온 쇄신연대가 '7일 표결'요구를 전격 수용했기 때문이다.

7일 당무회의에서 표결로 논란이 매듭지어지면 4월 전대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일단 경선 시기가 정해지면 민주당은 본격적인 경선국면에 돌입할 전망이다.

◇ 쇄신연대 왜 입장 바꿨나=이날 오전 열린 당무회의 때까지만 해도 쇄신연대는 주류측과 극한 대립 양상을 보였다.

쇄신연대는 당무회의에 장영달(張永達).신기남(辛基南).조성준(趙誠俊)의원 등 3명만을 대표로 출석시킨 채 나머지 의원들은 출석을 거부했다.張의원 등 3명도 표결 논란 끝에 회의장을 박차고 떠났다.그러자 한광옥(韓光玉)대표는 "7일에는 표결하겠다"고 선언했다.

당사 주변에선 "이러다 당이 무슨 일 나는것 아니냐"는 말들이 나돌기 시작했다.쇄신연대가 7일 당무회의도 거부하고,韓대표와 이인제(李仁濟)고문 등 주류가 단독으로 표결을 강행하면 분당(分黨)사태가 올지도 모른다는 우려였다.

그러나 오후 4시부터 쇄신연대측의 대책회의가 열리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이 자리에는 김근태.정대철(鄭大哲).김원기(金元基)고문과 이호웅(李浩雄)쇄신연대 간사 등 23명이 참여했다.한화갑(韓和甲)고문측의 문희상(文喜相).조성준 의원도 나왔다.이들은 2시간30분 동안 격론을 벌인 끝에 표결수용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회의 후 장영달 총간사는 "정치는 현실이니 최악을 피하기 위해 후퇴한다"고 말했다.

그간 조기 전대론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던 김근태 고문조차 "7일 표결이 이뤄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전격적인 입장변화의 이유는 세가지다.무엇보다 '후보 조기선출론'의 당내 대세(大勢)를 거스를 수 없었다는 것이다. 당의 분란이 계속될 경우 정권 재창출은 고사하고 사분오열될 가능성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쇄신연대 내부에서도 "더 이상은 안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쇄신연대는 언제 후보를 뽑느냐는 것보다 어떻게 하면 당 쇄신을 이룰 것이냐가 더 큰 관심사였다"면서 "그동안 쇄신연대가 마치 韓고문을 지지하는 것처럼 비춰져 부담이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 곤혹스러운 한화갑=그동안 쇄신연대를 발판삼아 지방선거 후 전대를 주장했던 韓고문은 난처한 입장에 빠지게 됐다. 쇄신연대의 이날 결정에는 韓고문의 측근 의원들도 상당수 참석했으나 대세를 막지 못했다. 韓고문측은 쇄신연대의 결정사항이 알려지자 "그게 정말이냐"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지만 "7일 이전에 주류측과 협상해 전대 시기 문제를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