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교육의원 후보들 … 피할 수 없는 ‘천안 고교 평준화’ 문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강복환 교육감 후보, 김종성 교육감 후보(왼쪽부터)

천안 고교입시 평준화가 6·2 지방선거 화두로 떠올랐다. 최근 충남도교육감·교육의원 일부 후보들이 천안지역의 고교평준화 실시를 공약으로 내놓고 있다. 그러나 절차와 내용 등은 조금씩 다르다. 이달 초 26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천안시 고교평준화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는 각 후보들에게 고교평준화 공약화를 공개 제안한 바 있다.

김종성 충남도교육감 후보는 보도자료를 통해 “공청회 등을 통해 고교평준화에 대한 천안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 내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지난 18일 평준화시민연대 임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평준화와 비평준화를 흑백논리로 비교해선 안 되며 많은 시민들이 장단점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하향평준화가 아닌 상향평준화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복환 충남도교육감 후보도 최근 “김지철 교육의원 후보가 제안한 모든 교육감·교육의원 후보들의 평준화 여론조사 실시 공약화와 그 결과에 따른 고교평준화 도입을 적극 지지한다”며 “천안시민들의 찬성이 높으면 이른 시기에 천안 고교평준화를 전면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시민 찬성률이 65% 이상이면 임기 내 추진’을 밝혔다.

충남교육의원 제1선거구(천안) 김지철 후보는 교육감 후보 2명과 교육의원 후보들에게 “당선 이후 천안 고교 평준화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르겠다는 약속을 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2008년 평준화를 실시한 포항의 경우 2010학년도 수능에서 1등급 비율이 전국 시·군·구 중 30위 안에 들었지만 천안은 어느 영역에도 들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선택권은 평준화 실시 이후 선지원 후추첨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보장할 수 있다”며 “평준화는 학생들의 학력이 균등해져 학교간 선의의 경쟁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충남교육의원 제1선거구(천안) 조동호 후보는 ‘선택형 고교평준화’라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조 후보는 “천안의 경우 평준화, 비평준화를 극단적으로 나눌 수 없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다면 점진적인 고교평준화를 통해 상향 평준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천안서 시행 중인 공동입시창구는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일부 고교에서 우수 학생을 선점하기 위한 또다른 방편으로 이용되고 있어 더 이상 활용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평준화시민연대는 20일 성명서를 통해 “교육감 후보들이 이구동성으로 고교 평준화를 추진하겠다고 유권자들에게 약속하는 것은 반가운 일이나, 오제직 전 교육감이 평준화 여론조사에서 찬성이 55.7% 나왔으나 반대(37.9%) 의견을 앞세워 거부한 적이 있어 후보자들 약속을 반신반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시민연대는 선거일 전 ‘고교평준화 추진협의회 준비위원회’구성, 방송토론회 개최 및 6월 순회공청회, 7월 여론조사(과반수 찬성이면 2012년 실시)를 주장했다.

조한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