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상경계 태세 북한 겨냥한 것 아닌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측이 6차 장관급 회담 기간 내내 강력히 해제를 요구해 남북간에 쟁점이 된 '비상경계태세'의 정식 명칭은 '경계 및 테러 대비태세 강화지시'다.

정부는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사태 이후 북측의 주장처럼 '북측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외부의 테러에 대비해 군과 경찰에 이 지시를 내린 것이다.

세계적인 테러위협 속에서 만약에 발생할지 모르는 외부의 테러로부터 국민과 국내 상주 외국인을 보호하기 위한 당연한 조치라는 게 국방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특히 '경계 및 테러 대비태세 강화지시'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핵심역할을 맡는 국방부와 합참의 위기조치반은 이미 해체됐다.

김동신(金東信)국방부 장관도 12일 국회 예결위 답변에서 "북한의 주장은 우리 군의 조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