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스마트폰 해킹 재앙 방지 대책 서둘러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지난달 말 국내 처음 스마트폰 악성코드 감염사례가 발표됐다. 자동으로 국제전화를 걸게 만들어 통화료를 빼돌리려는 시도였다. 다행히 피해는 없었지만 이는 앞으로 일어날 재앙의 서막일 뿐이라는 것이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의 말이다. 김홍선 안철수연구소 대표는 “스마트폰의 원초적 기능인 사용자 위치정보가 그대로 노출되거나 모바일 인터넷 뱅킹·쇼핑으로 인한 금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에서는 스마트폰 인터넷 뱅킹 접속자 상대의 사이버 범죄가 출현했다.

국내에서는 몇몇 세미나에서 취약한 스마트폰 보안 상황이 시연됐다. 보안업체인 시만텍코리아의 윤광택 수석컨설턴트는 “기업이나 개인 비밀번호 같은 중요 정보를 빼내는 식으로 악성코드가 발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익명을 원한 해킹 전문가는 “현재 구축 중인 은행 보안망을 두 시간 만에 뚫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해커들 사이에 오간다”고 귀띔했다. 지난해 7월 청와대·국회·국방부 등 주요 정부기관과 기업의 웹사이트가 속수무책으로 당한 ‘7·7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대란’과 같은 사이버테러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악의 상황이지만 스마트폰을 매개체로 삼은 북한의 테러도 염두에 둬야 한다. 국가적인 대책이 시급해졌다.

스마트폰 보안위협에 대응하는 ‘모바일 시큐리티 포럼’이 방송통신위원회를 구심점으로 삼아 최근 출범했다. 정부·학계 인사와 보안업계 간부가 주축이 된 국내 최고 권위의 협의회가 될 것이라고 한다. 문명의 최첨단 기기인 스마트폰이 공교롭게 불러들인 최첨단 해킹 위협을 예상하고 찾아내 대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할 것이다. 차제에 지난해 7·7 디도스 대란 직후 정부가 내건 사이버 보안 인력 3000명 육성 방안에 대한 진지한 고민도 필요할 듯싶다. “스마트폰 대란이 터졌을 때 대처할 전문인력이 국내에 300명도 안 된다”는 임종인 한국정보보호학회장의 이야기는 정보기술(IT) 강국을 자처하는 나라의 부끄러운 자화상이다.

문병주 경제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