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경쟁력이다] 정부지원 탈락 딛고 지역경제 살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많은 지역이 '국가의 배려에서 소외돼 왔다'고 주장한다. 지역이 발전하지 못한 책임을 국가에 전가하지만 국가를 탓하기 전에 국가를 활용할 능력을 키워야 한다.

원주 의료기기산업단지의 사례는 정부 지원에 앞서 지역 스스로 지역경제 활성화의 불씨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지역의 자발적인 역동성이 있었다. 사업 초기 정부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면서 지역 스스로 추진하는 계기가 됐다. 오히려 약이 된 셈이다. 시는 전담팀을 가동하고 대학 측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지역의 미래를 중앙정부의 예산과 지원에만 의존하는 해바라기 지자체가 아니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전략이 있었다. 원주는 대학과 병원 등 지역 내 의료 관련 자원을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의료기기 산업단지를 선택했다. 이렇게 특화된 전략을 선택하고 한 방향으로 역량을 결집한 것이 주효했다.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한 리더의 역할이다. 요즘 자치단체장이 바뀌면 모든 것이 바뀐다고 한다. 그러나 원주는 달랐다. 이전 시장이 한 일을 후임 시장이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지역경제 활성화는 반짝 관심보다 지속적인 정책과 의지가 우선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는 모든 지역의 목표이자 현실적인 과제다. 기업들이 고개를 가로젓는 소외된 지역이라면 더욱 그렇다. 흔히 '우리 지역은 자원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지역개발은 시대의 흐름을 간파한 안목으로 지역자원을 발견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육성하는 것에서 비롯해야 한다.

강신겸(삼성경제硏 연구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