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불법복제율 41% … 사상 첫 세계 평균 밑돌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국내 소프트웨어(SW) 불법복제율이 점차 낮아져 처음으로 세계 평균을 밑돌았다. 국제 민간기구인 사무용소프트웨어연합(BSA)이 11일 싱가포르에서 내놓은 ‘2010 세계 SW 불법복제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불법복제율은 41%로 세계 평균치(43%)보다 낮았다. 이 기구가 1998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그해 한국은 64%, 세계 평균은 38%였다. 국내 SW 불법복제 피해 추정액도 5억7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8% 감소했다. 제프리 하디(사진) BSA 부회장은 이날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지난해 한국의 저작권이 개정되면서 3진아웃제가 도입되고 고소권자의 동의 없이 부분적인 형사처벌을 받는 등 제재가 강화됐다. 저작권 보호운동도 광범위하게 진행돼 불법복제율이 크게 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의 SW 시장이 커지는데 불법복제율은 감소하고 있다. 일시적 현상 아닐까.

“저작권 관련 법률이 강화되고, 이를 기업 등에 교육·홍보하면서 불법복제로 인해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경종을 울린 덕분이다. 정부와 기업의 불법복제 퇴치 의지만 굳건하다면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다.”

-세계적으로는 불법복제율이 증가했는데.

“지난해 41%에서 2%포인트 늘었다.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등 신흥시장의 SW 성장세와 PC 보급 증가세가 빠르기 때문인 것 같다.”

-불법복제율이 줄면 어떤 이득이 있나.

“BSA의 SW경제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2005년을 기준으로 불법복제율이 10%포인트 낮아지면 9000억원 이상의 조세수입 증가, 3조원 규모의 국내총생산(GDP) 증대 효과가 있다. 새로운 일자리도 2만여 개 생긴다고 한다. SW 지적재산권이 보호돼야 정보기술(IT)산업이 번성할 수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미국과 일본이 각각 20%, 21%로 가장 낮은 편인데.

“한국은 OECD 평균인 27%보다 아직 꽤 높다. 22위다. 미국의 경우 불법복제에 대해 경고한 뒤 시정이 안 되면 CD 한 장당 15만 달러의 벌금을 매긴다. 단속과 제재 강도가 높다. 학교에서도 SW 윤리교육을 한다. 한국도 이를 배웠으면 좋겠다.”  

싱가포르=이지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