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확정 어떻게 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지난해 1월 31일 국회 본회의장.

16대 총선을 앞두고 선거구 획정위에서 마련한 선거구 조정안에 대한 의원들의 성토가 이어졌다. 지역구가 통합된 한나라당 박세직(朴世直.구미갑)의원은 "17대 총선 때나 쓰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각당 의총에선 더한 장면이 벌어졌다.창녕이 밀양과 합쳐지자 창녕서 출마의지를 다지던 민주당 김태랑(金太郞.전국구)의원은 이상수(李相洙)획정위원에게 "너 정말 죽어"라고 주먹을 쥐고 달려들었다.

선거구 획정은 해당지역 의원이나 지구당위원장의 정치생명을 좌우한다.헌법재판소의 25일 결정은 정치권을 다시 이같은 난제속에 밀어넣었다.

◇ 하한 10만명 상한 30만명=이날 한나라당 이재오(李在五)총무는 사견임을 전제로 "하한을 10만명으로,상한을 30만명으로 하는 게 낫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 안(案)은 1995년 신한국당(한나라당 전신)때도 논의됐었다.

이 안에 따를 경우 10만명 이하인 대구 동구 등 6곳이 통합대상이다.영남 3곳, 호남에서 1곳이 포함돼 있다.

30만명 이상인 선거구 22곳은 분구(分區)될 가능성이 크다.서울 5곳을 비롯, 수도권에선 12곳이 대상이다.또 영남도 6곳, 호남도 3곳이 영향권 내다.

전체적으론 영남지역에서 3곳, 호남에서 2곳이 는다. 그러나 이 안의 경우 지역구 의원만 16명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 상-하위 20곳씩 조정=이론적으론 인구수가 적은 선거구와 많은 선거구를 동시에 손을 보는 방법도 가능하다. 대략 인구수 상하 20위권을 끊을 경우 3대1 기준에 부합한다.

이 경우 통합 대상 선거구는 대부분 농촌지역에 몰려 있다. 영남 8곳,호남 4곳이 포함된다. 반면 분구 대상 선거구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서울 4곳,경기 6곳,인천 1곳으로 모두 11곳이다.영남에선 5곳,호남에서 3곳이 는다.

전체적으로 영남 3곳, 호남 1곳이 줄어들어 민주당과 한나라당 모두 내켜하지 않는 안이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