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호 보물인양사업 중개 이형택씨 수사 이뤄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처조카인 이형택(李亨澤) 예금보험공사 전무가 27일 국정감사에서 "G&G 회장 이용호(李容湖)씨에게 보물인양 사업을 소개해줬다" 고 시인함에 따라 李전무에 대한 검찰 수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李씨는 보물인양 사업을 이용해 주가를 조작한 혐의로 구속된 데 이어 정.관계 인사들이 삼애인더스 해외전환사채를 인수해 차익을 챙길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李전무가 단순히 소개만 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대가를 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李전무는 국감 답변에서 동화은행 지점장 시절 행원이었던 허옥석(구속 중)씨를 통해 지난해 7월 李씨를 만났으며, 지난해 10월께 은행 재직 시절에 알았던 보물 인양업자 崔모씨를 李씨에게 소개해 주었다고 진술했다.

게다가 28일 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는 한나라당 김진재(金鎭載)의원이 "투신사 계약직 직원이었던 許씨가 99년 이후 우체국 예금 1조6천억원을 유치해 성과급 16억여원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은 바로 李전무" 라고 주장하는 등 李전무에 대한 또 다른 의혹을 제기했다.

許씨는 李씨로부터 삼애인더스 해외 전환사채(CB) 10만달러어치를 넘겨받아 3억원의 시세차익을 올렸으며, 李전무에게도 CB를 살 것을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李전무는 "보물인양 사업을 소개 한 대가로 CB나 주식 등 어떤 것도 받지 않았으며 許씨의 우체국 예금 유치도 본인과 무관한 것" 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검찰 관계자들은 사실 확인 차원에서도 李전무 소환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李전무가 보물인양 사업과 관련, 상당한 정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李전무는 국감에서 검찰이 파악했던 보물인양 사업자 吳모씨에 대해 "그는 명목상 사장이고 실제 보물인양 사업자는 崔모씨" 라며 검찰도 '모르는' 사실까지 공개했다.

하지만 검찰은 李씨가 현직 대통령 처조카라는 위상을 고려해 소환 시기와 방법 등을 놓고 적지 않게 고심하고 있는 눈치다. 대검 중수부 명동성(明東星)수사기획관은 28일 "이용호씨 계좌 추적에서 李전무의 구체적 범죄 혐의가 드러나면 소환 조사할 것" 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李씨와 許씨, 李전무를 둘러싼 의혹이 증폭되고 있어 '성역없는 수사' 를 천명한 검찰이 李전무 조사를 계속 미룰 수는 없을 것으로 법조계 인사들은 전망하고 있다.

김원배.장정훈 기자

사진=장문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