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허리 디스크는 수술하는 병이 아니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요추 추간판 탈출증, 즉 허리 디스크는 허리 통증보다는 엉덩이, 다리의 저림이나 당김이 주 증상이며 원칙적으로 수술할 필요가 없는 질환이다.

최근의 논문에 의하면 아무리 많이 튀어나온 디스크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자리로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디스크는 안쪽의 탄력있는 수핵과 이를 감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이뤄져 있는데 설사 섬유륜이 파열되어 수핵이 흘러나온 경우에도 서서히 주변 조직으로 흡수되어 사라지게 되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여러 논문에 보고 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도 환자의 증상이 개선된다. 다만 의학적으로 하지의 마비 증세나, 배변 장애 또는 척추신경 종양 등 매우 드문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수술은 튀어나와 있는 디스크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어떤 방법으로든 아무리 간단하다고 하더라도 남게 되는 정상 디스크가 다시 튀어나오거나 수술 부위가 딱딱해지는 경화 현상, 또는 주변 조직의 유착 등으로 인하여 환자에게 해로울 수 있으며 증상이 재발된 경우엔 치료 효과를 거두기 훨씬 어렵다.

비수술적 치료 중 최근 각광받는 방법인 신경차단술에 대해 알아보자. 튀어나온 디스크에 의해 눌리고 자극을 받아 붓고 염증이 생긴 척수신경 가지에 몸에 해가 없는 신경치료약물을 주입하여 신경의 염증을 가라앉힘으로써 다리 저림을 극적으로 호전시키고 주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의 개선을 가져오는 매우 확실한 치료법이다. 우려하는 부작용은 없으며 척추를 지지해주는 근육들 중 뭉친 부분을 풀어 주는 근육내 신경자극술(IMS)이나 신경치료를 병행하면 틀어진 자세까지 바로잡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디스크 치료법과 더불어 중요한 것이 평소의 적절한 자세인데 특히 앉아있을 때 너무 푹신한 소파나 맨바닥은 피하고 의자에 자연스레 허리를 펴고 앉고 자주 움직여줄수록 좋다. 또한 스트레칭 체조와 일주일에 서너 차례 30분 이상 평지에서의 걷기 운동도 효과적이다.

허리 디스크는 보존적(비수술적) 치료와 지속적 관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이자 증상임을 충분히 인식하여야겠다.

■ 분당 메디노블 통증의학과 대표원장 백원경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한 보도 자료입니다.>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