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탄압 ' 발표] "한국대사관들 찬성말라 권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언론사 세무조사와 일부 신문사 사주 등의 구속과 관련, 한국에 온 세계신문협회(WAN).국제언론인협회(IPI) 공동 조사단이 국내에서 5일부터 조사에 들어갔으나 언론 탄압 여부를 둘러싸고 조사단과 정부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 있다. 이로써 세무조사로 촉발된 국내 언론탄압 여부가 국제사회의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WAN.IPI 공동 조사단은 6일 국정홍보처를 방문했다. 로저 파킨슨 WAN 회장과 요한 프리츠 IPI 사무총장 등 4인의 공동 조사단은 "한국의 23개 언론사가 동시에 세무조사를 받고 사주 등이 탈세 혐의로 구속된 것은 명백한 언론탄압" 이라고 주장했다.

공동 조사단은 이어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을 언론자유 탄압 감시대상국(Watch List)으로 이날 발표한 것이 한국의 언론 자유 억압을 막고 언론 상황을 긍정적으로 돌리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요한 프리츠 사무총장은 "정부가 비판적인 언론을 부패.부도덕한 언론으로 보이도록 한 것은 계획된 의도" 라며 "IPI 투표 과정에서 한국대사관들이 회원들과 접촉해 찬성 투표를 하지 말도록 권유했다" 고 비판했다.

홍보처는 이날 반박 성명에서 "한국의 언론 상황에 대해 사실 확인도 하기 전에 감시대상국 운운하는 오만함에 분노를 느낀다" 며 "한국 정부가 IPI 이사 등에게 (투표 과정에서) 로비를 했다며 사실과 다른 내용을 허위 유포했다" 고 말했다. 다음은 공동 조사단과의 기자회견 일문일답.

-공동 조사단이 어떤 자격으로 조사를 하는 것인가. 내정간섭으로 비칠 수 있는데.

▶유엔이나 유네스코(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처럼 국가를 초월한 국제기구로 국제 언론 상황에 대해 논의할 권한이 있다. 23개 언론사 모두가 세무조사 결과 유죄(탈세 혐의)가 있다면 그 자체가 문제다.

- 국내 시민단체들은 탈세 혐의가 있는 언론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한국을 감시 대상국에 올렸다고 발표한 이유는.

▶한국 언론 상황은 한국의 이슈가 아니고 IPI가 회의를 거쳐 결정한 국제적 문제다. 또 편집권 보장 등은 정부가 개입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며 이해 당사자들이 논의해야 할 문제다.

- 한국의 언론 자유가 위축됐다고 보는지.

▶(정부에 비판적인)독립 언론사들의 소유구조를 바꾸고 억압하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재정적으로 취약해 부도에 직면하고 은행 융자에 의존하게 될 대부분의 언론사가 기자 실업과 외부 압력에 노출돼 있다.

김기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