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회 프런트] 음식쓰레기 수거 즉시 배출정보 시청에 온라인 전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20일 오전 3시 전북 전주시 삼천동 완산소방서 사거리. 찬바람이 몰아치는 새벽 거리를 달려온 음식물 전용 수거차량이 해물 음식점 앞에 섰다. 도로변에는 밥·반찬 찌꺼기가 뒤섞인 플라스틱 통 두 개가 놓여 있었다. 음식점이 전날 오후 11시쯤 내놓은 것이다.

차량 리프트에 통을 올리자 110㎏, 85㎏이라는 중량 표시가 나타났다. 이 숫자는 배출 날짜와 시간, 음식점 주소지, 업주 이름 등과 함께 운전석 옆 PC 모니터에 자동으로 떴다. 이후 시내를 1시간가량 돈 수거차량은 전주시 팔복동 음식물자원화센터에 들어가 음식물 쓰레기를 쏟았다. 이렇게 모아진 음식폐기물은 물기를 뺀 뒤 말려 퇴비로 만들어졌다.

오후 9시에 나와 새벽 6시까지 근무한다는 이진선(34)씨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장소·일시 등 정보가 자동으로 한꺼번에 처리돼 작업이 편리해졌다”며 “음식점의 경우 지난해보다 폐기물이 30% 이상 줄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과거에는 음식물 비닐봉투가 거리·골목 곳곳에 버려져 지저분하고 악취가 코를 찌르곤 했는데, 지금은 통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가 깨끗하고 악취도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쓰레기를 배출한 양만큼 돈을 내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전국 지자체 중 이를 처음 실시한 전주시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전년보다 12% 줄었다. 배출량이 매년 7~8%씩 증가하던 것을 감안하면 실제 감소효과는 20%나 된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주시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를 도입한 것은 지난해 4월. 김형준 자원관리과장은 “음식점이 5300여 개로 타 지역보다 훨씬 많고, 반찬이 20~30가지나 될 만큼 상차림이 푸짐한 탓에 음식물 쓰레기가 급증해 골머리를 앓았다”고 말했다. 실제 전주시민 1인당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연평균 108㎏으로 전국 평균보다 20㎏ 정도가 많다.

전주시는 종량제에 첨단 정보기술(IT)을 접목했다. 개인주택·음식점·공동주택용으로 구분해 지급한 음식물 통에는 RFID(무선주파수인식장치) 시스템을 활용한 전자태그가 부착돼 있다. 음식물 통이 수거차량에 올라가면 전자저울이 그 무게를 자동 계산하고 전자태그 속에 든 개인정보를 읽어 PC에 저장한다. 이 정보는 곧바로 시청의 서버로 전송된다. 시청은 이들 자료를 근거로 수수료(가정용 L당 30.7원, 업소용 ㎏당 37.4원)를 부과한다. 수거 방법도 예전에는 20~30가구씩 한 지역에 거점별로 모았으나 지금은 가구별로 문 앞에서 수거한다.

전주시는 1년간 종량제 시행 결과,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4월 이후)이 하루 평균 233t으로 전년 동기(261t)보다 28t이 줄었다. 이 같은 성과 덕분에 우수행정 사례로 뽑혀 행안부장관상과 특별교부세 2억원을 받기도 했다. 이를 벤치마킹하려는 다른 지자체 관계자들의 발길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12일에는 전국 80여 개 시·구청 공무원들이 찾아와 현장 견학을 했다. 올 1월에는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실이 마련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 대책 회의에 전주시 관계자들이 초청받기도 했다.

송하진 전주시장은 “처음에는 주민들이 불편하다며 반발하기도 했지만, 지속적인 설득 결과 이제는 적극적인 동참자로 바뀌었다”며 “ 전주시를 전국에서 가장 청결한 문화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주=장대석 기자, 사진=오종찬 프리랜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