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사회갈등 봉합 나서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시민단체가 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지만 최근에는 사회의 불신과 갈등을 부추기는 등 부정적인 역할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따라서 시민단체는 사회 구성원의 갈등을 봉합하고 서로 믿을 수 있게 하는 데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명지대 행정학과 임승빈 교수는 지난달 29~30일 강원도 평창군 휘닉스파크에서 중앙일보 시민사회연구소가 주최하고 23개 학회.시민단체가 참여한 '새 공동체 건설 통합 콘퍼런스'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임 교수는 '시민사회단체 간 신뢰 형성을 위한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시민단체가 소액주주운동 등으로 대기업 경영을 투명화하는 등 사회에 좋은 영향을 줬다"면서도 "하지만 최근의 활동은 정부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거나 다른 시민집단에 대한 적개심까지 노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이런 부정적 요소가 강화되고 있는 것"이라며 "우리 사회가 열린 시민사회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시민단체들이 갈등 봉합을 위해 노력하고 정치권과 거리를 두며 제3세력으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해 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다른 주제 발표자인 목원대 행정학과 장수찬 교수는 "(자체 조사 결과) 한국인의 대인(對人)신뢰 수준은 81년도(38.0%)부터 계속 하락, 2002년도엔 26.6%에 이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장 교수는 "이 같은 신뢰 수준의 하락은 무엇보다 국가권력의 도덕성이 이완됐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하루 빨리 정치가 정상화하고 국민도 (시민단체 같은) 자원결사체 활동에 참여해야 신뢰라는'사회자본'이 축적될 수 있다"고 밝혔다.

호서대 사회복지학과 송다영 교수는 아동 빈곤 관련 토론을 통해 "결혼 관계가 해체된 뒤 미성년 자녀를 데리고 살아가는 가난한 여성 가구에서 빈곤 아동 문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아동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 가구주에 대한 사회보장 차원의 지원 등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국의 사회자본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라는 대주제로 열린 이번 콘퍼런스에는 한국정치학회 등 8개 학회.포럼과, 신사회공동선연합 등 15개 사회단체에서 모두 150여명의 학자와 관계자들이 참가했다.

이창호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