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보호법안 외국은 어떤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조사에 따르면 국회가 추진하는 모성보호법안 내용 중 대부분이 외국에서도 도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아검진휴가와 사산.유산휴가는 국제노동기구(ILO) 협약에도 없는 내용이며, 시행 국가도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모성보호 조항과 관련한 비용도 선진국들은 의료보험과 같은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운영하고 있는 데 비해 우리나라는 사업주에게 부담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경총은 1백75개 ILO 회원국을 조사한 결과 출산휴가를 기업이 부담하는 경우는 사회보장체제가 미흡한 콩고.우간다 등 20여개국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출산휴가의 경우 지난해 ILO 총회에서 종전의 12주를 14주로 늘렸으나 아직까지 37개국만이 도입했고, 그나마 미국.일본.영국.독일.프랑스 등 대부분 선진국들은 아직 법률에 반영하는 비준을 하지 않고 있다. 재계도 휴가기간을 늘리는 데는 원칙적으로 찬성이나 비용을 기업이 부담해야 한다는 점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유급 태아검진휴가나 유산.사산휴가는 ILO 협약에도 규정돼 있지 않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도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 유급 생리휴가의 경우 우리나라가 유일하고, 일본.인도네시아만 무급 생리휴가를 제도화하고 있다.

김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