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상여금 지자체에서 나눠먹는 변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공직사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도입된 성과상여금을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직원들에게 골고루 나눠줘 제도의 취지가 변질되고 있다.

이들 자치단체는 지급규정에 따라 성과금을 지급한 뒤 성과금을 받지 못한 직원들에게 나눠주거나 부서회식비 등으로 일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4일 성과금을 지급한 대구시의 경우 상.하반기 근무성적을 토대로 2천2백39명의 직원들을 S(상위 10%).A(상위 20%).B(상위 40%).C(나머지 30%) 등 4개 등급으로 나눠 이중 S.A.B 등급에게 월 급여의 1백50~50%를 성과금으로 지급했다. 지급총액은 10억8천만원.

그러나 성과금 지급 이후 각 실.국은 "직원간에 위화감을 조성한다" 는 이유로 다시 전직원에게 월급(직급)에 비례한 금액으로 골고루 성과금을 재분배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컨대 정원이 10명인 부서의 경우 성과금을 받은 직원 7명이 각자의 통장에서 돈을 찾아 성과금을 받지 못한 나머지 3명에게 나눠주는 식이었다. 이에 따라 전직원들에게 1인당 40만~60만원씩의 성과금이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성과금을 받은 일부 직원은 "시가 성과금 나눠먹기를 강요했다" 고 말했다. 이에 대해 총무과 관계자는 "개인별 통장으로 성과금을 지급했으나 각 부서에서 자율적으로 돈을 나눠 가지도록 한 것" 이라며 "처음부터 나눠먹기를 강요한 것은 아니다" 고 해명했다.

지난 12일 3천8백50명에게 21억4천만원을 지급한 부산시도 S.A등급 직원들의 상여금 중 일부를 거둬 성과금을 받지 못한 직원들에게 나눠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부 부서는 아예 성과금을 부서 회식비 등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26일 성과금을 지급한 서울시는 직원들이 시 홈페이지를 통해 지급방식에 불만을 표시하자 일부에서는 부서별로 회식비로 사용하거나 직원들에게 돈을 나눠주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평가기준 등을 둘러싼 반발때문에 15일 현재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서울.부산.대구.전남북 등 7개 시.도만 성과금을 지급했다.

이한원.정용백.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