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신입생 단1명 위해 시설개조한 삼광중 '화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특수학교가 아니고는 장애 학생의 교육권이 보호되지 못하는 교육현장, 휠체어를 타고는 접근조차 하기 힘든 관공서, 장애인 채용의무를 일자리 대신 돈으로 해결하려는 기업….

이런 저런 핑계로 장애인을 외면하는 사회에 항거라도 하듯이 단 한명뿐인 장애인 학생을 위해 학교 운영체계를 바꾸고 각종 시설을 개조해 참교육의 본보기를 보인 사립학교가 있어 신선한 감동을 주고 있다.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식현리 삼광중학교.

이 학교에 근육이 굳어가는 진행성 근육병으로 거동이 불편한 이명선(李明善.13.파주시 법원읍 법원리)군이 배정된 것은 지난달 13일.

학교측엔 비상이 걸렸다. 1963년 개교 이후 혼자서는 움직일 수 없는중증 장애인이 입학한 것은 처음이고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상동(河商東.57)교장은 간부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논의했다.

"수업 분위기가 산만해질 수 있으니 받기 어렵다" 는 목소리가 나왔다. 실제로 이 학교에서는 92년 뇌성마비 학생을 재활학교로 전학시킨 예가 있었다.

그러나 "장애 학생도 비장애 학생과 똑같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는 의견이 우세했고 토론 끝에 李군의 입학을 허용했다.

학교측은 즉각 李군을 받아들일 준비에 나섰다. 우선 조치한 것은 1층 교실에다 李군을 배정하는 일이었다. 전교생이 3백99명인 이 학교는 1층에 여학생반만을 배치하고 있었다. 고심 끝에 학교측은 전학년을 남녀 혼합반으로 바꿔 李군이 1층 교실에 서 배울수 있게 했다.

그리고 5백만원의 긴급 예산을 편성해 시설 개조에 나섰다. 1층 여학생 화장실 내에 李군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 화장실을 만들고, 학교 현관으로 오르는 계단도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뜯어고쳤다.

또 李군을 위해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커다란 책상을 만들고, 李군이 학교 생활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7년째 단짝 친구인 김만옥(金萬玉.13)군 등 초등학교 동창 22명을 같은 반에 배정하는 세심함도 보였다. 담임인 박기환(朴基煥.29)교사는 李군을 제대로 돌보기 위해 졸업할 때까지 3년 동안 담임을 맡기로 했다.

파주〓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