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을 만큼 맞았다 반격 나선 도요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리콜 사태 이후 줄곧 수세에 몰렸던 도요타가 대반격에 나섰다. 8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 상·하원 청문회에서 제기된 각종 의문을 적극 해명할 계획이다. 9일에는 미국 내 1000여 개 협력회사 대표에게 회사 입장을 설명한다.

지난 2일부터는 2010년형 프리우스·캠리·아발론·코롤라 등 10개 차종을 대상으로 리콜 사태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판촉 세일을 시작했다. 다음 달 5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판촉 행사는 도요타 역사상 최대 규모다.

도요타는 먼저 미 하원 청문회에 증인으로 나왔던 데이비드 길버트 남일리노이대 교수를 겨냥할 계획이다. 길버트 교수는 청문회에서 도요타 차량의 급가속 원인이 전자식 속도 조절장치의 결함에 있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도요타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스탠퍼드대 자동차연구소장을 동원할 계획이라고 6일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전했다.

아울러 도요타 전자제어장치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외부 전문기관 엑스포넌트의 실험 결과도 공개할 예정이다. 도요타는 “길버트 교수의 실험 결과는 검증되지 않은 자의적 주장일 뿐”이라며 “그의 실험대로 하면 도요타뿐 아니라 다른 어떤 차량에서도 똑같은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도요타 내부 문서를 폭로한 전 도요타 법률고문 디미트리오스 빌러 변호사에 대해선 인신 공격에 가까운 대응도 불사할 태세다. 빌러 변호사는 미 하원에 제출한 내부 문건을 근거로 “도요타가 차량 결함에 대해 비밀주의로 일관해 관련 정보를 숨기는 데 급급했다”고 증언했다. 도요타는 WSJ에 e-메일을 보내 “빌러가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에 시달렸고 업무 실적도 형편없었다”며 관련 서류를 첨부하기도 했다.

리콜 수리를 끝낸 차량에서 다시 급가속 사고가 났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정면 대응했다. 도요타는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으로부터 수리 후 차량에서 급가속 신고가 들어왔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며 “신고자를 일일이 접촉해 사실을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신고 중에는 신원이 확인되지 않거나 고객 실수로 일어난 사례가 많았다”며 “이를 NHTSA에도 보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량 결함으로 사고를 당한 피해자가 제기한 소송도 막강 변호인단을 구성해 일괄 대응할 방침이다. 현재 급가속 사고와 관련해 제기된 소송은 77건에 이른다. 회사 정보에 밝은 한 인사는 WSJ에 “도요타가 비판에 정면 대응할 계획”이라며 “이번 주 기자회견은 리콜 사태 이후 도요타의 가장 적극적인 방어가 될 것이며, 이는 더 공격적인 방어를 위한 신호탄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도요타는 대대적인 판촉 공세도 벌이고 있다. 캠리·아발론·래브4 등 8개 차종에 대해선 5년 무이자 할부 혜택을 주고 있다. 아발론·툰드라·야리스를 사면 최고 3500달러 현금 리베이트를 주기도 한다. 하이브리드카 프리우스는 리스 부담을 낮췄다. 도요타 판매법인 밥 카터 부사장은 “도요타를 믿어준 고객에게 감사의 뜻으로 도요타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뉴욕=정경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