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수질해결 불가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새만금 간척사업의 관건이 되는 담수호(조성 예정)의 수질 개선을 위해 지금까지 제시된 모든 대책을 동원해도 만경강 수역은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와 여당은 이에 따라 이달 말 최종 결론을 내릴 때까지 만경강 수역의 간척 보류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며 새만금 사업의 보완책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5일 지난해 8월 새만금 사업 민관공동조사단의 최종보고서 제출 이후 농림.환경.해양수산부 및 전북도가 수행해 온 조사.분석 자료집을 공개했다.

자료집에서 환경부는 만경강 수역의 담수호 수질이 각종 수질개선 조치를 한 2012년에도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는 등 수질을 관리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해양수산부는 1만㏊에 이르는 갯벌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새만금 사업을 유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부는 특히 2012년 만경강 수역의 수질은 우회 배수로를 통해 만경강 물을 곧장 바다로 빼내는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도 연평균 총인(TP)농도가 0.103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농업용수 기준 0.1을 초과하는 수치다.

반면 사업시행 부처인 농림부는 "만경수역 수질에 한시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겠지만 농업용수로는 문제가 없다" 며 "만경강과 동진강 수역을 분리해 상대적으로 수질이 나은 동진강 유역 간척을 우선 완료할 수도 있다" 는 입장을 밝혔다.

전북도도 농업용수 수질 기준을 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업을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한편 정부와 여당은 이날 당정회의를 열고 만경강 수질 개선에 1조3천억원을 추가로 투입하는 방안 등 새만금 사업의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당정은 ▶사업 백지화는 곤란하다▶문제점을 보완한다▶환경과 개발을 조화시킨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양수.이철호.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