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지도부·친박 “올바른 판단” 환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국민투표론’을 직접 진화하자 한나라당 친박근혜계는 일단 환영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핵심 측근인 유정복 의원은 2일 “대통령이 청와대 참모의 무책임한 국민투표 발언을 거둬들인 것은 올바른 판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친박계는 여전히 경계하는 모습이었다. 유 의원은 “국민투표는 엄청난 부작용을 유발하고 실현 가능성도 없는데 청와대 참모란 사람이 그런 얘기를 꺼낸 것은 청와대의 현 주소를 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정현 의원도 “세종시 문제는 헌법 체계상 국민투표 대상도 아니고 국론 분열과 헌정 질서를 심대하게 훼손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도 논의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세종시 해법의 공을 넘겨받은 당 지도부는 이 대통령의 결정에 반색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세종시 논의를) 정상으로 회복시킨 것이고 당연한 수순”이라며 “중진협의체 논의가 안 됐을 때 마지막 수단으로 국민투표를 검토해 볼 수 있지만 이 시점에 나온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친이계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당내 결론을 낼 때까지 국민투표론을 미룬 것이지, 중진협의체가 무산됐을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얘기도 나왔다.

민주당은 ‘중대 결단’ 발언의 진원지로 알려진 이동관 홍보수석을 비판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만약 중대 결단이 국민투표가 아니었다면 국정을 농단한 이 수석을 즉각 해임하라”고 주장했다.

◆중진협의체에 힘 실리나=한나라당 안 원내대표는 “3일 열리는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중진협의체 구성을 논의하겠다”며 “앞으로 중진협의체에서 절충안과 같은 내용뿐 아니라 처리 절차를 포함한 모든 세종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당장 주내에 3선 이상 중진 의원 가운데 친이·친박계와 중립 성향 의원을 포함해 10명 안팎으로 중진협의체를 구성해 절충안 마련을 시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반면 친박계는 “중진협의체는 당론 변경을 위한 기구가 돼선 안 된다”고 반발하고 있어 구성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친박계 허태열 최고위원은 “일단 친이계에서 구성안을 발제하면 들어보고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