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ic English] I could recommend…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냥 참고 지나가는 불안.불면증처럼 가벼운 증상의 정신적 질병이라도 미국인들은 대부분 전문의를 찾아 상담한다.

이런 경우 정신과 의사(psychiatrist)뿐 아니라 전문상담원 (psychotherapist, 줄여서 therapist)을 찾기도 한다.

전문상담원은 심리학 석사학위 이상의 자격을 갖춘 전문인이지만 정신과 의사와 달리 약을 처방할 수 없다.

therapist들은 정신병을 질병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대화로 치료하는 셈이다.

전문상담원을 찾아가는 대표적 예는 '산후 우울증' 이다. 의학용어로는 'postnatal depression' 이지만 일반적으로 'baby blues' 라고 한다.

직장 여성은 '출산 휴가(maternity leave)' 를 받는다. 6개월에서 1년 사이. 남편들에게 주는 출산휴가 (paternal leave)도 있다.

A:How are you?(요즘 어때?)

B:I'm all right, except for the baby blues.(출산 우울증 말고는 괜찮아. )

A:I went through that myself, if you want, I could recommend a good therapist. (나도 경험했는데, 원한다면 아주 좋은 전문상담원을 추천해줄 수 있지. )

B:I love to have the number.(전화번호 좀 알려줘. )

A:Anyway, who' s going to take care of the baby after your maternity leave is over? (그런데, 출산 휴가 끝나면 누가 아기를 돌보니?)

B:That' s not a problem. My husband will have his paternity leave soon.(그건 문제가 안돼. 남편이 곧 출산 휴가를 받을 거야. )

우울증은 보통 'depression' 이라고 하는데, 일상생활에선 blues도 많이 사용한다.

'go through' 는 '통과하다' '경험하다' 란 의미로 experience와 같다.

"I love to…" 는 "꼭 하고 싶다" 란 뜻으로 자주 쓰인다.

"I love to, but…" 도 많이 쓰는데, "하고는 싶지만" 이란 뜻으로 상대의 호의를 배려하면서 거절하는 표현이다.

'leave' (떠나다)가 명사로는 '장기 휴가' 가 된다.

'병가' 는 'sick leave' .

조영재

e-mail: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