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택은행 정상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금융권 총파업이 금융노조의 파업 유보 선언으로 무산됨에 따라 세밑의 금융 혼란도 일단 가라앉았다.국민·주택은행도 파업 돌입 1주일만에 영업이 정상화될 전망이다. 두 은행의 합병을 전제로한 실무협상이 개시되고,금융지주회사를 통한 부실은행 통폐합 등 금융구조조정작업도 힘을 얻게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파업과정에서 두 은행 노사간에 쌓인 감정과 총파업 실패로 지도력에 큰 상처를 입은 금융노조 내부의 갈등 등이 겹쳐 당분간 여진은 남아 있을 전망이다.

◇금융권 총파업 불발=금융노조는 27일 저녁까지만 해도 조합원들의 파업 찬반투표에서 70%대의 찬성률이 나올 것을 자신하며 “파업 강행”을 주장했다. 그러나 조흥·한빛·신한·하나·평화 등 투표가 완료된 7개 은행의 투표함을 열어본 결과 찬성률이 극히 미미한데다 나머지 은행에서는 찬반투표 조차 제대로 실시되지 않자 28일 파업 철회 결정을 내리게 됐다.

한빛은행의 한 노조원은 “조합원 상당수가 명분없는 파업에 대해 비판적인 분위기라 지난 7월 총파업 때와 달리 찬성률이 저조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총파업 불발에 따라 이용득 위원장 등 현 금융노조 지도부의 총사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9일엔 영업정상화 전망=국민·주택은행은 28일 오후2시까지만해도 각각 3백32개(전체 점포의 55.9%),4백98개(93%)의 점포를 여는데 그쳤다.그나마 업무중 일부만을 취급해 고객들의 불편은 여전했다.그러나 노조원들의 복귀로 오늘부터는 정상영업이 가능할 전망이다.

문제는 파업과정에서 쌓인 노사간의 감정과 징계문제 등이 지뢰처럼 깔려있다는 점이다.특히 주택은행에 비해 국민은행 노사간의 갈등이 큰 편이어서 후유증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이로인해 영업정상화 이후 적절한 시점에 경영진을 개편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합병협상 산넘어 산=금융노조는 업무 복귀의 전제로 향후 6개월간의 합병과정을 노사간 협상을 거쳐 추진해야한다는 단서를 붙였다. 두 은행은 그간 합병비율 및 통합은행 명칭 등을 둘러싸고 팽팽하게 맞서왔는데,노조까지 가세함에따라 협상과정에 혹을 하나 더 붙이게 된 셈이다.

28일엔 두 은행의 은행장들까지 나서서 “국민은행보다 먼저 영업 정상화를 해야 확실한 합병주체로 인정받을 수 있다”(김정태 주택은행장)“파업 때 직원들이 보여준 단결력으로 합병과정을 유리하게 이끌자”(김상훈 국민은행장)며 신경전을 벌였다. 합병이 성사되기까지 해결해야할 과제가 산적해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신예리·김원배·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