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일선고교 특기·적성교육 '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주시내 일반계 고등학교 교장단이 학생들의 다양한 소질 개발을 목적으로 한 특기 ·적성교육이 비현실적이라며 전면 중단하겠다고 선언해 파문이 일고 있다.

18개 고교 교장들은 ‘우리의 입장’이라는 성명서를 통해 “성적의 잣대로 당락이 결정되는 입시제도에도 불구하고 교육당국이 특기 ·적성교육을 강요하는 것은 교육현실을 무시한 처사로 정상수업 외 어떤 수업도 전면 거부한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교장단은 “대학에서 채택하는 성적은 수직으로 서열화된 변별지수이기 때문에 현행 특기 ·적성교육으로는 일부 학생들만 수혜자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전국 최저 수준인 도내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위해서는 보충수업이 반드시 필요한데도 ‘불법’으로 낙인 찍혀 있다”며 “학원학습은 ‘합법’이고 학교학습은 ‘불법’이냐”고 항변했다.

교장단은 이어 “지금 학교현장은 교장과 교사 ·학생 ·학부모들 사이에 불신 ·몰이해 ·대립구도가 형성돼 교단붕괴가 우려되는 형편”이라며 “이런 상황인데도 교육당국은 특기 ·적성교육만을 주문하며 현실에 맞지 않는 교육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전북도교육청은 지난 14일 겨울방학 중 특기 ·적성교육을 제대로 이행치 않을 경우 행정·재정 지원을 차등화하고 관련자는 문책하겠다는 뜻을 전달했었다.

도 교육청은 현재 1·2학년들을 대상으로 교과 및 비교과 관련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한 특기 ·적성교육을 실시케 하고 있다.입시과목 중심의 문제풀이 위주로 진행해 온 기존 보충수업과 달리 특기 ·적성교육은 우선 학생들이 과목·강좌를 선택한다.

또 시험 기술이 아닌 기본적인 학력 증진을 목적으로 테마식 토론학습 이뤄지거나 예체능·교양·직업기술 등을 가르치기도 한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특기 ·적성교육 실시 방침을 거듭 확인해 교육청과 학교간의 마찰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도교육청은 내년부터는 특기·적성교육을 고교생 전학년으로 확대 시행할 방침이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