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언론문건' '총격사건'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여야는 14일 상대의 약점을 쟁점화하기 위한 노력에 바쁜 하루를 보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한나라당의 '언론대책문건' 을 '대선공작문건' 으로 이름짓고 당내 '공작정치근절대책위원회' 를 구성했다.

같은 시간 한나라당의 '청와대 총기사살사건 은폐.축소 진상조사특위' 의원들은 사상 처음으로 청와대 경호실을 현장조사했다.

양당 대변인은 치열한 성명전을 벌였고, 서로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자민련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각각 "지하조직의 공갈수법" "김신조도 못한 청와대 내 총격사건" 이라고 비꼬았다.

◇ 언론대책 문건 파동=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선 "지도자로서 이회창 총재의 부적격성이 중점 거론됐고, 한나라당은 기획위원회 등 정치공작전담기구를 해체해야 한다는 등의 논의가 있었다" 고 박병석(朴炳錫)대변인이 전했다.

그러면서 朴대변인은 "문건작성 관련 책임자 전원을 문책하고 李총재는 사과하라" 는 논평을 냈다.

대책위원회 관계자는 "한나라당은 문건에 따라 이미 언론인을 적대적.우호적인 층으로 분류해 실행하고 있다" 며 "이회창 총재가 보고받지 않았다는 주장도 거짓" 이라고 주장했다.

강성구(姜成求)의원 등 당의 초선의원 29명은 "李총재는 집권욕만을 내세운 대권정치를 중단하라" 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 청와대 총기사망 사건=한나라당 김원웅(金元雄)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진상조사특위는 사건 발생 당시 상황, 사고장소와 집무실간의 거리 등을 조사하기 위해 청와대를 방문했다.

경호실측이 '간단한 몸검사' 를 요구, 승강이를 벌였으나 의원들의 사상 첫 청와대 현장조사라는 점을 감안, 의원들이 응했다.

특위 위원들은 "총기사고 지점이 청와대 경내로 드러난 만큼 경호실과 경찰수뇌가 사건은폐를 위해 구수회의를 했는지 파헤치겠다" 고 다짐했다.

그러나 김원웅 의원에게 제보한 사람의 신원문제와 관련, 경호실 김영대 차장이 "金의원이 현직 경호실 간부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누군지 분명히 밝혀보라" 고 강력히 요구하고, 金의원은 "밝힐 수 없다" 고 응대하는 등 거친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최상연.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