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재의 Magic English] 29. His company…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let은 흔히 '어떤 일을 하게 만든다' 는 뜻이기에 사역동사라 하는데 실생활에서 매우 다양하게, 그리고 자주 사용되기에 앞뒤 문장의 흐름을 잘 봐야 한다.

"Since you worked hard today, I'll let you go early today." (오늘 열심히 일했으니 일찍 가도록 해주지.)

여기선 집에 가도록 '허용해 주다' 는 뜻이다. 그런데 같은 형태지만 아래의 대화에선 '해고하다' 가 된다.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문맥상 부정적인 개념을 파악하는 수밖에 없다.

A:What's wrong with Mark?(마크한테 무슨 일 있어?)

B:His company just let 20 workers go, and he is one of them.(회사에서 20명을 해고했는데, 마크가 그중에 포함됐대.)

let이 일상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예는 'let us' 의 줄임말인 let' s일 것이다.

A:What do you want to do on Thursday night?(목요일 밤에 뭐할래?)

B:Let's go to a club.(나이트클럽에 가자. )

나이트클럽(night club)을 우리는 night라고 부르는데 미국에서는 club이라고 한다. 미국인에게 있어 주말은 금요일 저녁부터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TGIF(Thank God It's Friday:드디어 주말이다)라고 하는 표현이 나오고, 패밀리 레스토랑 이름으로까지 사용될 정도다. 하지만 대학생의 경우는 주말이 목요일 저녁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다.

금요일에는 수업이 적기 때문에 많은 대학생들이 목요일 저녁부터 술집을 돌아다니면서 즐기는데 이를 'bar hopping' 이라 한다.

최근에는 이런 생활에 익숙해진 대학생들이 사회에 나가서도 bar hopping을 하는 경우가 많아 주말이 목요일 저녁으로 옮겨간 느낌이 들 정도다.

"If he thinks he can beat me in a tennis match, just let him try!" (테니스 게임에서 나를 이길 수 있다고 한다면, 한번 해보라고 해. )

위의 예문처럼 let은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다' 는 뜻으로 실생활에서 자주 쓰인다.

조영재

e-mail: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