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특별전형 빗나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학입시의 특기자 선발이 대학에 일단 붙고 보자는 수험생과 모집.홍보 효과를 거두려는 대학을 위한 편법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기자 선발 지원자가 특기와 무관한 학과(학부)에 진학하는가 하면 대학들이 특별전형을 통해 가수.탤런트 등 연예인들을 경쟁적으로 뽑아 일반 학생들과의 형평성을 잃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특별전형 입학생의 절반이 성적불량으로 제적되거나 학사경고를 받고 있어 이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기 위한 보완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민주당 설훈(薛勳)의원이 11일 분석해 발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1998~2000학년도에 서울에 있는 15개 대학의 각종 경시대회 및 올림피아드 대회 입상자, 어학특기자 입학생 9백33명 중 3백72명(40%)이 수상경력이나 특기와는 무관한 모집단위의 학부나 학과에 다니고 있다.

특히 영어특기자의 경우 19개 대학 입학생 8백59명 중 절반이 영어특기와는 관련성이 적은 학과(학부)에 합격했다.

특별전형은 수능.학생부 성적 등을 통해 공개적으로 뽑는 일반전형과 달리 수상실적.면접 등으로 선발한다.

특별전형 선발 인원은 98학년도엔 전체 모집인원의 9.2%였다가 2000학년도 21%, 2001학년도 23.4%로 크게 늘고 있다.

◇ 특기 따로, 입학 따로=K대의 경우 1백59명의 특기자 중 영어특기자 46명이 컴퓨터공학과 군(群)에 입학하는 등 1백11명(70%)이 특기와 무관한 학과에 들어갔다.

S대는 올림피아드.전국경시대회 입상자 39명을 입학시키면서 이중 12명을 수상 실적과 관계없는 학과에 다니게 했다.

이는 특기와 관련이 있는 모집단위에만 입학할 수 있도록 제한한 대학이 서울 시내 24개대 중 5개대에 불과하기 때문에 가능했다.

Y대는 논술.외국어 특기자가 의예.치의예과까지 갈 수 있게 해놨다. K대의 경우 1백44명의 영어특기자 중 1백명이 전 학부에 빠짐없이 입학했다.

薛의원은 "수학경시대회 입상자가 법대에, 영어특기자가 의예과에 진학하는 것은 학생의 특기를 대학이 살려주겠다는 제도 취지에 어긋난다" 면서 "특기별로 갈 수 있는 모집단위를 제한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 특기자 부적응=건국대 교육학과 오성삼(吳聖三)교수가 1998년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2백57명을 대상으로 4학기 동안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52%가 학사경고를 받거나 자퇴.휴학하는 등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특기자는 휴학.자퇴생이 56%나 됐고 학사경고자까지 합치면 66%나 됐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