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료계 요구 수용…7일 최종 조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의료계와 정부가 막후 대화를 통해 상당한 의견 접근을 봤으며 곧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의료계 파업의 장기화로 국민의 불안과 불편이 커지고 있어 의료계가 정부와의 협상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요구사항을 일단 수용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6일 의료계 대표와 의견절충을 했으며 7일 의료계 직역단체 대표들의 모임인 비상공동대책 10인 소위원회와 최종적으로 의견을 조율키로 했다" 고 밝혔다.

의료계는 그동안 정부와의 협상 시작의 전제 조건으로 ▶구속자 석방 및 수배자 해제▶지난 8월 12일 연세대에서 열린 전공의(레지던트)집회를 경찰이 원천봉쇄한 데 대해 사과할 것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협상이 시작되면 의료계의 요구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이날 의(醫).정(政) 막후 대화에서 정부는 "의료계의 요구조건을 수용하는 대신 전공의 파업과 의대교수들의 외래진료 철수 등을 풀고 협상테이블에 앉자" 는 입장을 제시했으며, 의료계 대표들은 "파업 철회는 내부적으로 의견조정을 해봐야 한다" 며 유보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의료계의 입장이 정리되면 의료계 파업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신상진(申相珍.44) 의협 의권쟁취투쟁위원회 위원장 등의 석방을 추진하고 수배자 해제조치도 취하기로 했다.

또 이무영(李茂永.54)서울지방경찰청장이 연세대 집회 봉쇄 과정에서 부상자가 발생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하기로 했으며 최선정(崔善政)보건복지부 장관도 의협을 직접 방문해 해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소식통도 "의료계 파업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추석 연휴를 맞는 것은 여권으로선 부담스럽다" 면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협상 실무자들에게 상당한 재량권을 주고 출국한 것으로 안다" 고 전했다.

이양수.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