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판매 대박 노린 제약사 신종 플루 공포감 조장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신종 플루(인플루엔자A/H1N1) 백신을 대량으로 판매하기 위해 제약회사들이 이 질병에 대한 공포감을 지나치게 과장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11일 영국 일간지 ‘선’에 따르면 유럽회의의원총회(PACE) 보건분과위원장 볼프강 보다르크는 “주요 제약회사가 경보단계를 최고 수준인 ‘대유행(pandemic)’으로 높이도록 세계보건기구(WHO)에 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신종 플루에 대한 공포를 증폭시켰다”고 주장했다.

유럽 47개국 정부 간 협력기구인 유럽회의의 최고 보건책임자인 그는 “신종 플루 공포는 제약회사들이 주도한 ‘허위 대유행’으로 금세기 최대의 의학 스캔들 가운데 하나”라며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WHO는 신종 플루 확산이 절정에 이른 지난해 6월 대유행을 선포했다.

최근 들어 신종 플루 확산세는 세계적으로 한풀 꺾이고 있다.

보다르크는 “신종 플루는 일반적인 독감의 한 종류로 치사율이 계절성 독감의 10분의 1도 안 된다”며 “이에 대한 공포심 조장은 대유행이 선포되면 ‘대박’을 터뜨릴 것이란 걸 알고 있던 제약회사들에 황금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WHO에 근무하는 많은 사람이 제약회사들과 매우 긴밀히 연계돼 있다”며 “누가 어떤 근거로 대유행 선포 결정을 내렸는지를 분명히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럽회의는 이 사안에 대해 이달 말 비상회의를 소집, 진상조사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신종 플루의 피해가 예상보다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다수 선진국들이 백신 주문 취소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호주 제약업체 CSL에 대한 백신 주문량을 절반으로 줄였다고 11일 발표했다. 독일 정부도 백신 주문량을 3분의 1로 줄이기로 영국계 다국적 제약회사 글락소 스미스 클라인(GSK)과 합의했다.

일부 선진국은 이미 확보한 백신을 제3세계에 되파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유철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