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산 식품대책 서둘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최근 냉동 납꽃게와 냉동 납복어 등 건강에 해로운 중국산 수산물이 먹을거리에 대한 불신을 빚어내고 있다.

수산물 외에도 한약재와 농수산물 등 중국산 식품의 수입이 봇물을 이뤄 국민건강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산은 농산물만도 올들어 7월말까지 2억4천4백여만달러어치(47만7천여t)가 수입됐다. 지난 한해 동안의 2억1천8백여만달러어치(44만5천여t)를 벌써 넘어섰다. 중국산 식품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당장 냉동 납꽃게.납복어에 대해 철저한 진상규명이 있어야 한다. 국내수사에만 매달리는 듯한 인상을 주지 말고 즉각 중국 당국과 공조조사를 벌여야 한다. 수산물에 납을 넣은 주체와 원인.배경 등을 철저히 파헤쳐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단단히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앞으로 보건위생 분야의 외교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세계각국은 자국민 건강보호를 위해 수입식품에 엄격한 기준을 요구한다.

수출국이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수입을 원천봉쇄하는 것이다. 이런 취지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농수산물.한약재 등 가공식품의 경우 미국.호주.태국.독일.핀란드.대만 등 6개국에 '국외공인검사기관' 29곳을 지정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이와 비슷한 장치로 올 7월 베트남과 처음으로 수산물검사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아직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중국산에 대해선 이렇다할 안전장치가 전혀 없다.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위생검사.관리체계의 전면 재검토도 필요하다. 지금처럼 식품의약품안전청.해양수산부 등에 흩어져 있는 관리체계에 과연 효율성이 있는지 정밀분석해봐야 한다.

중국엔 수산관은 파견돼 있으나 식품위해정보를 수집할 식품검사관이 없는 점도 개선해야 한다. 식품행정도 이제 한 단계 도약해야 할 때다.

국민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기대수준에 눈높이를 맞춰야 한다. 국내외 식품 감시와 견제장치를 강화하면서 식품업자들의 보건위생 의식도 높여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