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수도권지구당 관계자] "당서 돈줄때마다 처리 상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민주당 송영길(宋永吉)의원은 27일 "당이 선거비용 회계처리와 관련한 교육이나 시스템을 제대로 갖췄다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것" 이라고 주장했다.

선관위로부터 선거비용 법정 한도(1억2천1백만원) 초과로 수사 의뢰된 宋의원이다.

그는 선거비용을 7천6백84만원으로 신고했다. 여기에다 정당활동비 가운데 동(洞)협의회장 활동비와 동 연락사무소 설치 등으로 지급한 5천6백40만원을 선관위가 선거비용으로 분류해 법정 한도를 넘게 됐다.

그러나 4.13총선 당시 선거비용을 다뤘던 회계 담당자들은 '중앙당 지원금' 과 관련해 당 차원의 지침이 있었다고 전한다.

이와 관련, 윤철상 전 사무부총장은 지난 25일 의원총회에서 "선거비용을 선거비용과 정당비용으로 잘 구분해 절반씩 사용하라고 교육했다" 고 말한 바 있다.

15대 총선 때 이기문(李基文)전 의원이 이를 잘못 처리해 의원직을 상실했던 경험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였다.

수도권 격전지에서 2억원 가량을 지원받은 A지구당 관계자는 "그 중 선거비용으로 올린 것은 기탁금(2천만원)을 포함해 7천만원뿐" 이라고 말했다. 나머지는 선거비용에 포함되지 않는 정당활동비로 처리했다고 한다.

이는 돈이 입금될 때마다 중앙당 쪽과 구체적인 처리항목을 상의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선거비용에 잡히지 않는 지구당 개편대회.당원연수비.홍보비 등으로 명세서를 만들어 선거비용 신고액을 1억원 안팎으로 맞출 수 있었다고 한다.

정당활동비라는 항목을 활용해 선거비용을 고무줄처럼 조정할 수 있다는 것. 민주당 관계자는 "이런 현상은 한나라당.자민련 후보들도 마찬가지" 라고 주장했다.

B지구당 관계자는 "당 지원금의 절반을 정당활동비로 돌려 선거비용을 조정하라는 지침을 받았는데 宋의원측이 소홀히 한 것 같다" 고 말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