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선관위 반발…곤혹스런 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민주당 윤철상 전 사무부총장 발언파문과 관련해 규명돼야 할 것은 민주당이 과연 검찰과 선관위에 압력을 행사했는지 여부다.

"당에서 할 만큼 했으며, 기소될 분 가운데 빠진 분은 열손가락을 넘는다" 는 尹전부총장의 25일 의원총회 발언은 검찰에 어떤 영향력을 미친 것 같은 인상을 풍긴다.

"선관위가 김영배 상임고문을 고발하려 해서 선관위와 언성을 높였다" (김옥두 총장), "개별적으로 선관위와 검찰에 계속 연락을 취했다" (정균환 총무)는 지도부의 발언도 오해를 불러 일으킬만 하다.

그러나 민주당과 선관위.검찰은 외압설을 강력 부인하고 있다. 尹전부총장은 "선관위 고발을 (검찰)기소로 잘못 표현했다" 고 해명했다.

金총장도 "金고문이 찾아와 '고발될 것 같다' 고 하길래 선관위 간부에게 전화를 걸었다" 며 "압력이 있었다면 金고문이 실제로 고발됐겠느냐" 고 반문했다.

鄭총무는 "선관위 고발에 대해 당에서 법적 대응을 잘 하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을 뿐" 이라고 설명했다.

"尹전부총장이 송영길 의원의 성토를 듣고 다혈질적으로 해명하는 가운데 실언을 했다" 는 게 민주당 주장이다.

그러나 尹전부총장이 "공개하지 못할 얘긴데, 선관위 사람들이 당에 와서…말하지 않는 게 좋겠다" 고 얼버무린 까닭은 역시 의문으로 남는다.

그가 입수했다는 '제3의 정보' 가 "시.도지부, 지구당에서 올라온 얘기" 라는 해명에도 석연찮은 점이 있다.

◇ 윤철상 누구인가=동교동 가신 출신(48)으로 오랫동안 조직 실무를 맡아왔다. 지난해 3.30 재.보선 당시 이른바 '동(洞)특위' 사업을 주도했다가 물의를 빚어 조직위원장을 사퇴한 전력이 있다.

15대 때 고향인 전북 정읍에서 DJ를 떠난 중진 김원기 의원을 꺾었으나 16대 때는 金의원에게 지역구를 양보하고 전국구의원이 됐다. 1980년대 중반 김대중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 경호원으로 동교동에 들어갔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