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수사관련의원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회계처리 방식을 놓고 선관위와 시각차가 있는 것 같다." (민주당 김영배 의원 보좌관)

선관위에 의해 본인 또는 관련자가 고발이나 수사의뢰된 의원들은 혐의사실을 완강하게 부인했다.

의원 본인과 선거사무장.회계책임자가 한꺼번에 고발된 金의원측은 "통상적 정당활동비를 선관위가 선거비용으로 오인했기 때문이며 모두 미미한 수준" 이라고 주장했다.

역시 본인이 고발된 민주당 이윤수 의원은 "선관위는 금융실명제 관련법을 위반하며 무리하게 자금추적을 일삼고 있다" 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같은 당 송영길 의원측은 "혐의내용을 파악 중" 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대부분 "경찰과 검찰에서 이미 무혐의 처리된 사안인데 야당 탄압하고 있다" (김부겸.권오을.박종근 의원)고 흥분했다. "선관위가 건수 올리려고 별 것 아닌 걸 부풀렸다" (권오을 의원), "황당하다" (이윤성 의원)는 경우도 있었다.

김형오 의원측은 "선거 2개월 전에 구입한 PC를 선거비용으로 간주했다" 고 주장했다. 김용학 의원은 "선거운동기간 중에 유급사무원을 8명까지 둘 수 있다는 선관위 유권해석에 따라 7명을 썼는데 선관위가 이제 와서 생트집을 잡는다" 고 했다.

김부겸 의원은 "정당 연락사무소를 선거에 이용한 것으로 오해하는 것 같다" 고 말했다.민주당의 경우 장성민 의원측은 "재판에 계류 중인 사안으로 해명할 게 없다" 고 말했다.

이창복 의원은 "유급당직자에게 급료로 지급한 돈은 선거비에 포함되지 않는데 선관위가 선거비로 계산했다" 고 했고, 전용학 의원은 "민주당이 아닌 자민련에 공천신청한 상태에서 지출한 자금은 정당활동비로 보는 게 옳은데도 선관위가 선거활동비로 해석했다" 고 했다. 이희규 의원은 "회계책임자가 몇백만원을 누락했는데 무지의 소치" 라고 주장했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