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데모 공세에 '관제 공청회' 맞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간 수도 이전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한나라당이 정부가 공무원의 참석을 권유한 이른바 '관제 공청회'를 열었다고 1일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예산을 편법 전용했다고 했다. 열린우리당이 제기한 '서울시 관제데모'의혹에 닮음꼴 의혹으로 맞불을 놓은 것이다.

이성헌 사무부총장은 당직자 회의에서 "이명박 서울시장이 예산을 투입해 관제데모를 했다고 (열린우리당이) 몰아붙이는데, 여권이 국회 동의를 거치지 않은 채 막대한 예산을 집행했고 토지공사.주택공사의 예산을 가져다 쓰고 진짜로 공무원들을 공청회에 참석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관련 공문도 공개했다.

이 공문은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가 지난 6월 18일 '신행정수도 건설기본계획(안) 공청회 홍보 협조'란 제목으로 부패방지위원회에 보낸 것으로 "귀 소속 직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란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엔 같은 달 21일 대전, 23일 서울 공청회 일정이 포함됐다. 이 부총장은 "추진위는 전 부서에 이 공문을 보냈다"며"사실상 공무원의 참석을 독려한 것으로 관제 공청회를 연 것 아니냐"고 따졌다.

예산과 관련해선 그는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수도 이전과 관련해 집행된 정부 예산과 공사 돈이 모두 73억1500만원인데 예비비와 예산을 전용하거나 공사의 예산을 강탈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건교부 소속 신행정수도건설추진지원단이 예비비와 관서운영비 21억1100만원을 전용했다"며 "또 대통령 비서실 산하 추진위 용역비를 토지공사.주택공사 예산으로 했고, 추진위 자문단 소속 교수들이 용역 작업했는데 이게 과연 옳은 일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추진위는 "참여정부 출범 전에 편성된 예산이어서 전용이 불가피했다"고 반박했다.

추진위는 또 공문과 관련해 "전 부처에 보낸 것은 사실이지만 관심을 가져달라는 뜻이었을 뿐 동원을 요청한 게 아니다"며 "공무원을 실제 동원했다면 빌 공(空)자 공청회란 말을 들었겠느냐"고 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