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유해 발굴, 남북 군사회담 때 제기하기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이명박 대통령이 신년 국정연설에서 북한에 묻힌 국군 유해 발굴사업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성사 여부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올해가 6·25전쟁 발발 60주년인 데다 북한이 신년 공동사설을 통해 남북 관계 개선의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유해 발굴사업은 상징성도 작지 않다.

국방부는 남북 군사회담이 열리면 유해 발굴사업을 최우선 의제로 삼을 방침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5일 “남북 간 군사회담 재개 시 북한에 있는 국군 유해 발굴사업을 먼저 제기하겠다”면서 “정부 내 관련 부처 협의와 북한 측의 호응을 보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 지역에 매장된 국군 유해 발굴은 남북 간 신뢰 구축 차원에서 중요한 사안”이라면서 “2007년 평양에서 열린 제2차 남북 국방장관 회담에서도 남북이 함께 해결하기로 합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4일 기자실을 방문해 “국방부 유해발굴조사단이 지난해부터 6·25 전사(戰史)와 참전 용사들의 증언을 토대로 북한 지역에 매장된 국군의 유해 분포지도를 작성 중”이라며 “6·25 참전용사와 그 가족들이 고령화되고 있는 만큼 조속히 유해 발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북한 지역에서 국군의 유해를 발굴하게 되면 미군의 기술과 경험을 지원받을 전망이다. 미군은 1996∼2005년 평안북도 운산 등지에서 33차례에 걸쳐 유해 발굴 작업을 벌여 229구를 찾은 바 있다.

현재 국군 유해는 북한 지역에 3만9000여 구, 비무장지대(DMZ)에 1만3000여 구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군은 6·25전쟁에서 8055명이 실종됐으며, 북한 지역에 4000여 구의 유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