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된 8월 초 개각…더 못늦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8월 초 개각은 청와대에서 오래 전에 예고된 사안이다.

그런데 30일 여권 고위관계자는 "공직사회의 뒤숭숭한 분위기탓에 더 이상 내각 개편을 미루기 곤란하다" 고 말했다.

한달 전부터 개각설이 흘러나오면서 공직사회가 일손을 놓고 있다는 여론 비판에 청와대는 곤혹스러워했다.

이제는 그런 흐트러진 분위기를 정리해야 할 단계라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개각의 시점 선택만 남았다는 말투였다.

그동안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개각 시기를 놓고 고심해 왔다. 내각의 틀을 일부 새로 짜서(정부조직법 개정안) 새출발할 작정이었다.

재경.교육장관을 부총리로 격상시켜 지식 정보화사회에 맞추고 내각을 팀별로 운영하겠다는 게 金대통령의 구상이다.

그런 계획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국회처리가 늦어지면서 미뤄져 왔다. 그러나 이제는 국회 통과를 더이상 기다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게 청와대 판단이다.

우선 8.15 광복절 기념사에서 집권후반기를 관리할 남북관계.개혁 등 여러 프로그램을 내놓기 위해선 내각의 인적 포진을 새로 해야 할 필요성을 청와대는 느끼고 있다.

둘째, 지난주 상반기 정부업무 심사평가에서도 지적했듯 국민들의 개혁 피로증을 씻기 위해선 인사쇄신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판단에 따르면 개각의 시점은 이번주가 유력하다. 金대통령의 8.15구상에 빨리 적응하기 위해선 8.15 열흘 전쯤에 새로운 내각이 등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청와대 한 참모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국회처리와 관계없이 먼저 개각을 단행하고, 정부조직법이 통과된 뒤 재경.교육부장관을 격상하는 방법이 있다" 고 설명했다.

金대통령은 지난주 초 청남대 휴가때 내각 진용을 새로 짜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인선구상에 대한 얘기는 나오지 않고 있다.

오히려 박준영(朴晙瑩)대변인은 "정부조직법이 통과된 뒤 개각을 검토한다는 게 공식 입장" 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헌재(李憲宰)재경장관이 이끌어 온 경제라인과 문용린(文龍鱗)교육장관의 교체설은 끊이지 않고 있다.

박재규(朴在圭)통일부장관은 서울의 장관급 회담 수석대표로 나서 개각대상에서 빠진 상태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