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의 Real English] 96. University…(1)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미국의 학교들은 2학기제(seme-ster), 3학기제(trimester), 그리고 4학기제(quarter system)로 나뉘는데 학기마다 등록금(tuition), 교재와 학용품비(books and supplies)를 낸다.

덧붙여 보험료(insurance fee)와 학생회 활동비(activity fee & fee to the student government association), 주차티켓 요금 등 부수적인 부담도 만만찮다.

미국의 학생들은 자신이 보던 책을 학기가 끝나면 서점에다 파는 경우가 많다.

서점에서는 이를 사들여 'used' (중고품)라는 표지를 붙여 새 책보다 싼 가격에 팔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책값을 절약할 수도 있다.

기숙사(dormitory)에서 생활하는 것이 바깥(off campus)에서 생활하는 것보다 경제적이다.

기숙사는 미리 신청해둬야 들어갈 수 있으며, 빈 방이 없다면 대기자 명단에 올려놓고 기다려야 한다.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경우 'meal ticket' (식권)을 구입해 식당에서 식사할 수 있으며 기숙사 1층에 부엌이 있으므로 요리를 해 먹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간단한 간식도 여러가지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에서 해결할 수 있다.

신입생들에게는 학교 생활에 관한 안내 책자(handbook)와 교내 지도(campus map)가 제공되므로 미리 읽어보면 많은 도움이 된다.

도서관의 경우 중앙도서관과 각 단과대 도서관의 소장 자료들이 다르기 때문에 개강하기 전 학교에서 시행하는 도서관 안내(library tour) 등은 꼭 참석, 각 도서관의 위치와 이용법 등을 배워두는 것이 좋다.

우리의 주민등록번호와 유사한 'social security number' 도 받아 두어야 한다.

이 번호는 'social security office' (사회보장국)에 가면 받을 수 있다.

등록(registration)을 할 때는 졸업에 필요한 필수과목(requirements/required courses)과 선택과목(elective courses)의 학점(grade)수를 확인한 후 등록해야한다.

첫 학기에는 지도교수(advisor)와 상의해 결정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외국인들 (international students)에게 의무적으로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과정이나 영작문(Writing)과정을 듣게 하는데 이 과정을 pass해야 졸업할 수 있다.

문의 :

이은경 <중앙문화센터 강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